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서노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정서부조화의 매개효과

이용수 820

영문명
Emotional Dissonance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발행기관
한국인사관리학회
저자명
이동명(Dong-Myong Lee) 김강식(Kang-Sik Kim) 김수련(Soo-Ryun Kim)
간행물 정보
『조직과 인사관리연구』인사관리연구 제31집 3권, 133~15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9.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그동안 정서노동이 소진과 같은 부정적인 결과를 유발한다는 연구 결과는 많았으나, 그 과정에 대해서는 특별한 규명작업이 소홀하였다. 본 연구는 정서부조화의 매개 역할을 통해 정서노동이 어떤 과정을 거쳐 소진과 같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항공승무원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 결과 정서부조화는 표면행동을 통한 정서노동과 소진의 정서적 고갈 및 비인간화 두 차원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구성원이 표면행동을 수행하더라도 직무나 조직과의 정체성이 높은 경우, 그들이 지각하는 정서부조화는 낮아져 건강한 조직 생활을 영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결국 정서노동의 수행은 구성원의 정신적 건강에 부정적 영향만 미치는 것이 아니라,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disson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Data was collected from 158 flight attendants of two airlines in Korea. From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we could conclude such as follows.
  First, emotional dissonance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of emotional labor and burnout, especially two dimensions of burnout, emotional exhaustion and dehumanization.
  Second, from the above result, we would like to present the possibility that emotional labor might have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negative effect on burnout, if employees wouldn"t experience emotional dissonance during the performance of emotional labor.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Ⅲ. 표본 및 변수
Ⅳ. 가설검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동명(Dong-Myong Lee),김강식(Kang-Sik Kim),김수련(Soo-Ryun Kim). (2007).정서노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정서부조화의 매개효과.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1 (3), 133-155

MLA

이동명(Dong-Myong Lee),김강식(Kang-Sik Kim),김수련(Soo-Ryun Kim). "정서노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정서부조화의 매개효과."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1.3(2007): 133-1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