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직무스트레스시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에 미치는 사회적 동일시의 완충작용에 관한 연구

이용수 1052

영문명
A Study on Buffering Effect of Social Identity to the Moderating Role of Social Support in Stress-Outcomes Relations
발행기관
한국인사관리학회
저자명
임창희(Chang-Hee Im)
간행물 정보
『조직과 인사관리연구』인사관리연구 제31집 3권, 55~7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9.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결과의 관계모델에서 직장 상사나 동료의 사회적 지원의 조절영향을 한다는 주장이 많이 있어왔지만 이러한 다양한 실증연구들이 모두 일관성 있는 결과를 보였다고는 말할 수 없다. 이는 사회적 지원을 측정할 때 오직 양적인 관점에서 얼마나 자주, 혹은 얼마나 많은 지원을 받는가에만 치중하였기 때문일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원의 객관적인 빈도나 크기뿐만아니라 질적인 측면을 새롭게 삽입시켰다. 즉, 지원받는 당사자가 지원자의 충고나 지원을 진심으로 공감하고 믿는지 혹은 정반대로 그냥 흘려버리는지가 지원의 빈도 못지않게 중요하다고 보아 이를 사회적 동일시 개념으로 측정하여 직무스트레스-사회적지원-조직성과 모델에 개입시켜보았다.
  이를 위한 연구모델과 가설을 설정하여 설문지를 이용한 서베이 연구를 실시했는데 12개 기업체의 사무직 근로자로부터 받은 설문지 중 유효표본 330개의 자료를 토대로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SPSS 12.0과  AMOS 4.0 통계프로그램에 의해 측정항목들의 타당성과 신뢰성 등의 검토를 거쳐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에 의하면 모든 연구가설들이 지지되었다. 즉 사회적 지원은 조직성과에 미치는 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동일시는 스트레스에 미치는 사회적 지원의 스트레스 감소효과를 더욱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스트레스가 증대됨에 따라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줄어들 때 사회적 지원이 이를 완화시키는데 사회적 동일시가 약하면 그 완화역할이 미미해져서 스트레스가 직접 반영되기 때문에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매우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어떤 두 변수 사이에서 사회적 지원의 조절역할을 여구할 때는 지원자와 지원받는 자의 특수한 관계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 타인의 말을 믿고 믿지 않는 개인적 성격도 고려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such as protection from stress, promotion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buffering negative impact of stres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se effects were analysed in the context of moderating role of social identity in a sample of 330 white collar employees.
  For empirical study, the research model included such variables like perceived social support, social identity, stres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variables was analysed. We have tested several hypotheses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by AMOS 4.0 and SPSS 12.0 statistical program.
  Results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social support from supervisors and colleagues protect from job stress. Buffer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stress was found in analyses where the moderating role of social identity was considered. Finally buffer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negative relationship of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was found more strongly, if the moderating role of social identity was considered, compared to analyses that did not include any personality factor, that we called in this paper social identity.
  As a result, employee with high social identity whom perceived high social support had the similar level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regardless of job stress.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context of social support-job stress-outcomes hypothesis. An extension of matching hypothesis may be proposed, referring to the fit between social support, stress, stress outcome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at is, social identity.

목차

〈요약〉
Ⅰ. 연구의 배경
Ⅱ. 이론적 배경과 가설설정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과 토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창희(Chang-Hee Im). (2007).직무스트레스시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에 미치는 사회적 동일시의 완충작용에 관한 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1 (3), 55-78

MLA

임창희(Chang-Hee Im). "직무스트레스시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에 미치는 사회적 동일시의 완충작용에 관한 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1.3(2007): 55-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