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노인의 거주형태가 스트레스 지각 및 대처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34

영문명
The Effect of Residence Type on Perception of Stressor and the Ways of Coping with Stress in the Elderly
발행기관
한국사회조사연구소
저자명
김광수(Kim Kwangsoo)
간행물 정보
『사회연구』2007년 제1호, 139~16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4.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의 생활양식을 구성하는 기본 환경요인이라고 볼 수 있는 거주형태가 노인들이 지각하는 스트레스의 수준과 그 지각한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대처하는 방식의 유형별 수준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규명하여, 상이한 거주형태로 살아가고 있는 재가노인과 시설노인들에 대한 분별화된 노인복지 서비스의 프로그램을 마련할 수 있는 정책방향의 표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 노인 전체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재가노인이 시설노인보다 스트레스를 지각하는 수준이 높았다. 지각한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유형별 수준에서는 재가노인이 시설노인보다 정서 중심적 대처 유형에서 뿐만 아니라 문제 중심적 대처 유형 둘 다에서 더 높은 수준으로 대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의 지각 수준과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 방식의 유형별 수준 간의 상관성에서는, 스트레스의 지각 수준과 정서 중심적 대처 간뿐만 아니라 스트레스의 지각과 문제 중심적 대처 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거주형태별 스트레스의 지각 수준 및 대처 유형별 수준의 차이를 사회인구학적 범주에 따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시설노인이 재가노인에 비해서 스트레스 요인에 대해서 대부분의 범주 내에서 더 낮은 수준에서 지각하고 있었다. 그리고 대처 유형별 수준에서 정서 중심적 대처 유형에서 뿐만 아니라 문제 중심적 대처 유형 둘 다에서 재가노인이 시설노인보다 대부분의 사회인구학적 범주 내에서 더 높은 수준으로 대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스트레스 지각 수준이 높을수록, 지각된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는 유형에서 더 복합적이고 수준에서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는 추론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노인들의 기본 생활양식을 구성하는 거주형태가 노인들이 지각하고 스트레스의 수준과 이에 대한 대처의 유형별 수준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해 준 이 연구의 결과는 노인 스트레스 문제의 해결을 위한 노인복지 서비스의 분별적 적용의 필요성과 이를 위한 사회정책 수립의 근거를 제공해 주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residence type in the elderly on both old people"s perception of stressor and the ways of coping with stress in a viewpoint of eco-systems theory, and to propose a guide by which social services for the elderly can be classified and differently provided to the elderly who living in different types of residence. To do this, a set of analyses was conducted by using data set collected from questionnaire survey of the elderly in Gyeongbuk in 2006. The residence type as independent variable was categorized into two types, living under home-based community care and living under residential care. Perception of stressor and the ways of coping with stress as dependent variables were measured by using ‘perceived stress scale" and ‘coping scale"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analyses are the followings. First, the stress level perceived by the aged living under home-based community car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aged living under residential care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ce. Second, nevertheless, the aged living under home-based community care coped with stress in the higher level in terms of both emotion-focused coping and problem-focused coping than the aged living under residential care did. Third, correlations among the level of perception of stressor and the levels of the ways of coping with stress in the elderly were proved to be positive. Fourth, the results above have proved the fact that the higher perception of stressor, the higher emotion-focused coping and the higher problem-focused coping. In other words, the higher perception of stressor would require more compound ways of coping with stress. Accordingly, this study has empirical implication that social services for the elderly must be classified and differently provided to the aged who living in different types of residenc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lives.

목차

1. 문제 제기 및 연구의 목적
2. 연구변수들의 개념적 논의
3. 연구문제
4. 연구 방법
5. 결과 및 논의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광수(Kim Kwangsoo). (2007).노인의 거주형태가 스트레스 지각 및 대처에 미치는 영향. 사회연구, 8 (1), 139-160

MLA

김광수(Kim Kwangsoo). "노인의 거주형태가 스트레스 지각 및 대처에 미치는 영향." 사회연구, 8.1(2007): 139-1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