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평생학습도시 유형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대도시형, 중소도시형, 농촌형을 중심

이용수 1537

영문명
A Study on Improving of Each Type of Lifelong Learning City
발행기관
한국평생교육학회
저자명
김남선(Kim Nam-Sun) 안현숙(An Hyun-Sook)
간행물 정보
『평생교육학연구』평생교육학연구 제13권 제1호, 25~4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3.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01년부터 실시하고 있는 우리나라 평생학습도시 정책이 매우 획일적으로 전개되고 있어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지 못함으로써 평생학습도시 발전에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기에 그 해결방안 모색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다. 특히 우리나라 대부분의 정책은 행정구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기에 평생학습도시 사업도 행정구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전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목적은 행정구역을 중심으로 대도시형 평생학습도시, 중소도시형 평생학습도시 그리고 농촌형 평생학습도시로 분류하여 각 유형의 특성을 살펴보고 그 유형에 적합한 평생학습도시 사업을 전개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유형별로 중요한 특성과 활성화 방안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도시형 평생학습도시는 평생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습자의 대부분이 주부이며, 평생학습기관마다 프로그램의 특성이 없다. 따라서 기관간의 체계적인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프로그램의 특성화를 기하고 남성의 참여를 확대할 방안을 모색해야한다. 둘째, 중소도시형 평생학습도시는 도농복합도시가 많아 같은 행정구역내에서 지역 간의 격차가 심하다. 특히 농촌지역주민의 평생학습참여가 매우 저조함으로 지역 간의 격차를 해소할 수 있도록 농촌지역에는 찾아가는 프로그램운영과 저녁 시간에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셋째, 농촌형 평생학습도시는 평생학습을 위한 시설이 매우 부족하다. 그리고 주민에 대한 평생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가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농촌지역의 평생학습시설을 읍면단위 중심으로 건립 또는 기존의 공공시설을 최대로 활용하여 주민과의 근접성을 확보해야 한다. 그리고 각종 매체 또는 모임을 통해 평생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were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respectively type of Lifelong Learning Cities, namely lifelong learning city in metropolitan area(Gu level), city level and rural area(Gun level), and to grope the ways for improving the lifelong learng cities. Because the policy of lifelong learning city from 2001 has been done monolithically, there are raised several problems.
  Most of policies by central government in Korea are based on administrative district, and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should be done based on administrative district that has the various characteristics, so that the policy of lifelong learning city could make the most something"s characteristics.
  Three lifelong learning cities, in the words, metropolitan area type(Haeundae gu, Busan Metropolitan area), Urban type(Andong city, Kyungpook), and rural type (Kechanggun, Kyungnam) were selected by the purposive sampling of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an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learners of each lifelong learning city, the analytical methods of statistics for the data were frequency, percentile, χ², and ANOV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most of learners in metropolitan area type are housewife, and the programs carried out by the lifelong learning organizations are no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the programs in each lifelong learning organizations are very similar. And the lifelong learning city in metropolitan area should provide the variety of the programs for community people. Secondly, the gap between city area and rural area in city government is high, because most of cities in Korea are combined of city and rural, and the rural people"s participation in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is very difficult, because it is a quite away in the geographic space to attend the program. And The equipments in administrative Yeup, Myun and Dong office should make used for rural people, and the programers are to serve the outreaching programs for the rural people. Thirdly, The equipments for lifelong learning are insufficient in rural, and it is difficult for the farmers to get the information about lifelong education. To improve the lifelong education for rural people, local government should provide the equipments for lifelong education in Yeup, Myun and Dong level in administrative district for the rural people, and make them get the information about lifelong education through every kind meeting and media.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평생학습도시 유형의 분류
Ⅲ. 연구의 방법
Ⅳ. 연구내용의 분석 및 해석
Ⅴ. 논의 및 활성화 방안
Ⅵ.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남선(Kim Nam-Sun),안현숙(An Hyun-Sook). (2007).평생학습도시 유형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대도시형, 중소도시형, 농촌형을 중심. 평생교육학연구, 13 (1), 25-49

MLA

김남선(Kim Nam-Sun),안현숙(An Hyun-Sook). "평생학습도시 유형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대도시형, 중소도시형, 농촌형을 중심." 평생교육학연구, 13.1(2007): 25-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