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작업집단에서 상사의 편애에 대한 부하의 지각 - 개별화된 리더십을 중심으로

이용수 367

영문명
Subordinate Perceptions of Supervisor’s Favoritism in Work Groups : A Focus on Individualized Leadership Theory
발행기관
한국인사조직학회
저자명
김경수(Kyoungsu Kim) 김공수(Kong Soo Kim) 조용현(Yong Hyoen Cho)
간행물 정보
『인사조직연구』인사·조직연구 제15권 제1호, 175~20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3.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물음에 답하기 위하여 개별화된 리더십에 초점을 두고 상사와 부하간 관계를 조사하였다: 과연 상사는 같은 집단에 속한 부하들을 편애하는가? 아니면 상사가 부하들을 편애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부하들이 상사가 편애한다고 지각하는 것인가? 일반적으로 집단에서 어떤 부하들은 상사와 원활한 관계를 가지는 반면 어떤 부하들은 원활하지 못한 관계를 가지는 경향이 있다. 이 때 원활한 관계를 가지는 부하에 대해 상사는 배려를 해 주거나, 자부심을 높여주거나, 부하들이 가지는 생각에 대해 지지를 해주는 반면, 원활한 관계를 가지지 못한 부하에 대해서 상사는 이러한 행동들을 보이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상사의 이러한 행동에 대해 원활한 관계를 가지는 부하들은 상사의 행동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지만, 원활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부하들은 상사의 행동에 대해 자신들이 차별(또는 다른 부하들을 편애) 받고 있다고 지각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다시 말하면 상사의 편애는 상사가 실제로 부하직원들을 편애하는 것이라기보다는 부하가 상사와 원활한 관계를 가지는가 아니면 가지지 못하는가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주장이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대규모 제조기업에 근무하는 96명의 관리자들과 관리자들의 상사 26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상사의 편애는 상사가 실제로 부하들을 편애하는 데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부하들이 상사와 원활한 관계를 가지는가 아니면 가지지 못하는가에 의해 나타난다는 가설이 뒷받침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가 상사와 부하의 관점에서 그리고 리더십이론 측면에서 논의되었으며 본 논문이 가지는 한계점과 시사점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s and subordinate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 (1) Do supervisors show favoritism toward some subordinates in a work group? or (2) Do subordinates perceive that their supervisor show favoritism toward other subordinates in a work group? In a work group some subordinates tend to have a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supervisor, whereas others tend to have a poor relationship with their supervisor. When subordinates have a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supervisor, he or she shows consideration behavior toward them, supports their ideas and behaviors, and shows confidence in their abilities and integrity. In this case subordinates provides satisfying performance with him or her. In contrast, when subordinates have a poor relationship with their supervisor, he or she does not show these behaviors. In this case subordinates do not provide satisfying performance with him or her.
  Accordingly,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subordinates who have a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supervisor view supervisor"s behaviors as a result of their providing satisfying performance, whereas subordinates who have a poor relationship with their supervisor view supervisor’s behaviors not as a results of their providing unsatisfying performance but as a result of supervisor’s favoritism. In other word, it is hypothesized that supervisor’s favoritism depends on whether subordinates have a good or poor relationship with their supervisor. It is also hypothesized that the two variables -- i.e., supervisor’s providing self-worth support (showing consideration behavior toward them, supports their ideas and behaviors, and shows confidence in their abilities and integrity) and providing satisfying performance --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vary between dyads. However, it is hypothesized that favoritism defined by equality and fairness varies between persons (subordinates).
  These hypotheses are tested by data from 96 managers and their 26 supervisors in a large manufacturing corporation in Kwangju. The results support the hypothesis that supervisor’s favoritism depend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s and their supervisor. That is, subordinates who have a poor relationship with their supervisor perceive supervisor"s favoritism, whereas subordinates who have a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supervisor perceive a lack of supervisor’s favoritism. The results also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providing self-worth and providing satisfying performance varies between dyads. In addition, the results support the hypothesis that equality and fairness varies between pers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one-to-one relationship between a supervisor and a subordinate associates with subordinates’ perceptions of equality and fairness (i.e., favoritism). These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supervisor and subordinate perspectives and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lso discussed.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이론 및 가설설정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수(Kyoungsu Kim),김공수(Kong Soo Kim),조용현(Yong Hyoen Cho). (2007).작업집단에서 상사의 편애에 대한 부하의 지각 - 개별화된 리더십을 중심으로. 인사조직연구, 15 (1), 175-200

MLA

김경수(Kyoungsu Kim),김공수(Kong Soo Kim),조용현(Yong Hyoen Cho). "작업집단에서 상사의 편애에 대한 부하의 지각 - 개별화된 리더십을 중심으로." 인사조직연구, 15.1(2007): 175-2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