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폐아동과 어머니의 사회성 기술 증진에 미치는 어머니-매개 사회적 상호훈련방법의 습득 및 일반화 효과

이용수 829

영문명
Acquisition and Generalized Effects of Mother-Implemented Social Interactive Training on Social Skills of Preschool Children with Autism and Their Mothers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황복선(Hwang Bogseon)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41권 제3호, 1~2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12.01
3,7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일상적인 놀이 환경 내에서 상호체계적인 이론을 배경으로 Klinger와 Dawson에 의해서 개발된 사회적 상호훈련방법(예: 모방하기, 자연 발생적인 강화제의 사용, 반응시간 지연법, 놀이 환경조성 방법 등)의 어머니에 의한 적용이 (1) 언어 발달 이전 초기 발달단계에 속하는 자폐아동의 조기 사회성 행동의 습득에 미치는 효과와 (2) 훈련에 참여한 어머니가 자폐아동과 상호작용함에 있어서 사회성 기술의 일반화된 변화(반응 일반화)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수행하였다.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조기교육프로그램에 다니고 있는 3명의 자폐아동과 어머니가 연구대상으로 참여하였으며, 자폐아동의 조기 사회성 행동의 습득은 사건기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어머니 행동의 반응 일반화는 행동평정 척도 내 12개의 어머니 상호작용 행동을 기초선-중재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1) 일상적인 놀이 활동 내에서의 사회적 상호훈련방법의 실시는 모든 대상아동의 조기 사회성 행동(시선맞춤, 행동모방)의 자의적인 사용을 의미 있게 증가시켰다. (2) 어머니-매개 사회적 상호훈련방법을 습득한 후, 자폐아동의 어머니는 아동에게 더욱 긍정적인 감정과 성취행동, 민감한 반응을 보였으며, 덜 지시적으로 반응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중증 자폐아동의 복합적인 조기 사회성 행동의 사용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조기중재 프로그램의 교육적인 내용을 구안하는데 필요한 실제적인 시사점을 제공해 주고자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Using the cross-developmental systems framework,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arent-implemented social interactive training package (i.e., contingent imitation, natural reinforcement contingency, time delay, environmental arrangement) developed by Klinger and Dawson during naturally existing play activities on (1) the increases of early social skills in low-functioning children with autism and (2) the generalized changes in interactive behaviors of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with autism who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Three children with autism who were functioning at early developmental levels enrolled in early intervention program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mother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dependent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an event recording procedure. The comparison of baseline and intervention scores on 12 maternal behavior subscales of the Maternal Behavior Rating Scale was employed. Results indicated that all participants increased their use of early social skills including eye contact and motor imitation following implementation of the social interactive training package. There were positive changes in overall maternal behaviors during baseline and intervention sessions. In particular, mothers of children with autism exhibited more frequent positive affects, responsiveness, and achievement behaviors and displayed less directive behaviors toward their children. Thes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to develop the contents of parent-implemented early intervention programs during naturally existing play activities in order to promote the spontaneous use of multiple social skills in low-functioning children with autism.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복선(Hwang Bogseon). (2006).자폐아동과 어머니의 사회성 기술 증진에 미치는 어머니-매개 사회적 상호훈련방법의 습득 및 일반화 효과. 특수교육학연구, 41 (3), 1-27

MLA

황복선(Hwang Bogseon). "자폐아동과 어머니의 사회성 기술 증진에 미치는 어머니-매개 사회적 상호훈련방법의 습득 및 일반화 효과." 특수교육학연구, 41.3(2006): 1-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