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족 사회의 위기 담론과 여성의 이주 경험 간의 성별 정치학

이용수 430

영문명
The Gender Politics of Women Migration: Focused on the Discourse of ‘Women Lost’ in the Korean-Chinese Society and Experience of Migrated Korean-Chinese Women
발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저자명
김은실(Eun-Shil Kim) 민가영(Ga-Young Min)
간행물 정보
『여성학논집』제23집 제1호, 35~72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6.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구화 시대의 이주는 송출국과 수용국 모두의 변화를 야기하며, 기존에 한 지역 내에서 적용되던 여러 가지 성별 분석 범주를 불안정하게 만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사회에 노동력으로 유입되고 있는 조선족 여성들의 이주를 조선족 사회에서는 어떻게 담론화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주를 통한 여성들의 자기 정체화와 가족 부양 경험은 이 담론들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중국 내 소수민족이라는 조선족의 특수성으로 인해 여성들의 이주가 공동체 부양능력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이주를 공동체의 약화, 축소 그리고 해체로 언설화한다는 것이었다. 이주를 통해 경제적, 문화적 차원에서 다양한 경험을 하고 조선족 사회로 귀환한 이주 여성들은 한국의 소비문화 그리고 교환가치를 창출했던 자신의 노동 경험에 의거해 조선족 사회의 위기 담론을 준거시킨다. 조선족 사회의 지역 가부장제 담론은 더이상 자신의 경험을 조선족 사회에 준거시키지 않는 귀환한 여성들의 삶의 경험, 새로운 삶의 욕망과 경합하면서 변화를 겪고 있다.

영문 초록

  Migration in the globalization era is causing changes in both the exporting and receiving countries, destabilizing the various gender categories of analysis formerly applicable in specific locales. This paper looks at the Korean-Chinese community’s discourses on the migration of Korean-Chinese women entering Korean society as labor providers and how the migrant women’s self-identification and experiences of supporting their family are related to such discours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irst, the particularity of the Korean-Chinese as a minor ethnicity within China which leads to the describing of the Korean-Chinese women’s migration as undermining, reducing, and disintegrating the community, even though the women migrants are capable of supporting the community. Second, the Korean-Chinese women have various experiences, economically and culturally, through migration, and when they return to their original home place, they find themselves contesting the gender roles which had been expected of them before they migrated. The local patriarchal discourses of the Korean-Chinese society are being contested and stirred up by the new exposure and new desires of the returned women who no longer take the Korean-Chinese society as the sole reference point for their lives.

목차

한국어 초록
1. 문제제기
2. 이주의 여성화, 지역 남성들의 위기 담론, 이주 여성들의 정체성 협상
3. 자료 수집 방법과 연구 대상
4. 조선족 여성 이주의 배경
5. 여성 이주에 대한 조선족 사회의 성별 정치학: 조선족 남성들의 위기 담론과 부양자로서의 여성
6. 맺는 말
참고문헌
저자소개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실(Eun-Shil Kim),민가영(Ga-Young Min). (2006).조선족 사회의 위기 담론과 여성의 이주 경험 간의 성별 정치학. 여성학논집, 23 (1), 35-72

MLA

김은실(Eun-Shil Kim),민가영(Ga-Young Min). "조선족 사회의 위기 담론과 여성의 이주 경험 간의 성별 정치학." 여성학논집, 23.1(2006): 35-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