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로봇미러링훈련과 로봇거울치료의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에 대한 편측무시 개선 효과성 비교: 무작위대조군예비연구

이용수 0

영문명
Comparing the Effectiveness of Robot Mirroring Training and Mirror Therapy with Robot on Unilateral Neglect in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발행기관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
저자명
우정재 권재성
간행물 정보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제6권 제2호, 65~81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로봇을 활용한 중재법인 로봇미러링훈련과 로봇거울치료가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 감소와 일상생활활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효과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무작위 대조군 예비연구로 충청지역의 D병원에 입원 중인 뇌졸중 환자 16명을 대상으로 로봇미러링훈련 집단과 로봇거울치료 집단으로 각각 8명씩 배정하였다. 각 집단의 중재는 총 15회기로 5주간 주 3회, 1회기 당 30분의 중재를 실시하였다. 중재 전⋅후 편측무시를 평가하기 위해 행동무주의검사-전통적하위검사(Behavioral Inattention Test-Conventiona; BIT-C)와 한국판 캐서린버지고척도(Korean Catherine Bergego Scale: K-CBS)를 사용하였고 일상생활활동 수행을 평가하기 위해 한국판수정바델지수(Korean Modified Bathel Index; K-MBI)를 사용하였다. 결과 : 집단 내 전⋅후 비교 시, 로봇미러링훈련 집단은 BIT-C와 K-CBS, K-MBI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여(p < .05) 편측무시 감소와 일상생활활동의 향상을 확인하였다. 로봇거울치료 집단은 BIT-C 중 선이등분검사(Line Bisection Test; LBT)와 그림따라그리기(Figure and shape Copying Test; FCT)를 제외한 항목과 BIT-C 총점, K-CBS, K-MBI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p < .05). 집단 간 변화량 비교에서는 BIT-C 총점과 별지우기검사(Star Cancellation Test; SCT), LBT, FCT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p < .05) K-CBS와 K-MBI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 > .05). 결론 : 연구의 결과를 통해, 로봇미러링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 중재로 활용될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예비연구는 편측무시에 대한 새로운 중재법을 시도하였다는 측면에서 임상적인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robotic mirroring training (RMTr) and mirror therapy with Robot (MTh-R) on unilateral neglect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in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and compared their effectiveness. Methods :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was conducted on 16 patients with stroke in D Hospital in the Chungcheong, South Korea. Eight subjects were randomly classified into RMTr and MTh-R groups. Each intervention consisted of 15 sessions 30 min each, three times weekly for 5 weeks. Unilateral neglect was assessed using the Behavioral Inattention Test-Conventional (BIT-C) and Korean Catherine Bergego Scale (K-CBS). ADL performance was evaluated using the Korean Modified Barthel Index (K-MBI). Results : The RMTr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BIT-C, K-CBS, and K-MBI scores(p < .05), indicating reduced unilateral neglect and improved ADL performance. The MTh-R group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the BIT-C total score, subtests, K-CBS, and K-MBI, except for the Line Bisection Test (LBT) and Figure and Shape Copy Test (FCT; p < .05). Comparisons between group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IT-C total score, Star Cancellation Test, LBT, and FCT (p < .05);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K-CBS and K-MBI (p > .05). Conclusion : RMTr has the potential to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unilateral neglect in stroke patients, offering new clinical insights for addressing this condi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우정재,권재성. (2024).로봇미러링훈련과 로봇거울치료의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에 대한 편측무시 개선 효과성 비교: 무작위대조군예비연구.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 6 (2), 65-81

MLA

우정재,권재성. "로봇미러링훈련과 로봇거울치료의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에 대한 편측무시 개선 효과성 비교: 무작위대조군예비연구."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 6.2(2024): 65-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