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치매 환자에게 적용한 보드게임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이용수 6

영문명
Effect of Board Games on Patients with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발행기관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
저자명
김찬영 김상근 김기승 공학중 최윤호 김우열 이유나
간행물 정보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제6권 제2호, 35~47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치매 환자에게 적용한 보드게임의 효과에 대해서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임상에서 적용하기에 적절한 근거를 찾을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3년 1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RISS, 국회도서관, KISS, Pubmed, Google Scholar, Science Direct에서 11년간의 문헌을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용어로 ‘치매’, ‘게임’, ‘보드게임’, ‘dementia’, ‘game’, ‘board game’, ‘Occupational Therapy’를 사용하였다. PRISMA의 Flowchart 4단계를 거쳐 총 8편의 문헌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결과 : 선정된 총 8편의 문헌에서 질적수준은 Level III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그 외는 Level I의 비율이 높았다. 사용된 평가도구는 간이 정신상태 검사(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MMSE)를 가장 많이 사용했으나 통일된 버전이 아닌 다양한 버전의 도구를 사용하였고, 그 외 몬트리올 인지평가(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MoCA), 전반적 퇴화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등을 사용하였다. 치매 환자에게 보드게임을 사용한 중재는 4편의 문헌에서 인지 수준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그 외 우울, 자아존중감, 사회 참여, 주의력, 작업 기억, 치매 위험도, 부분에서도 유의미한 효과를보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치매 환자에게 보드게임을 사용한 중재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중재의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임상에서 중재로서 적용하기에 적절한 근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임상에서의 중재에서 치료사들이 치료도구로써 사용하는데에 근거를 마련하였으며 추후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board games on patients with dementia and assess evidence for clinical applications. Methods : An 11-year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between January 2013 and December 2023 using the RISS, National Assembly Library, KISS, PubMed, Google Scholar, and Science Direct databases. We focused on terms, such as “dementia,” “games,” “board games,” and “occupational therapy.” Eight documents were selected for analysis using the four stages of the PRISAM flowchart. Results : Among the eight articles, the highest quality was level III, whereas others were at level I. The most commonly used evaluation tool was the MMSE, while others, such as the MoCA and GDS, were used. In four studies, board game interventions significantly improved cognitive levels and positively affected depression, self-esteem, social participation, task switching, working memory, and dementia risk. Conclusion : The effects of board games on patients with dementia were systematically reviewed, and the intervention results were confirmed.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has prepared an appropriate basis for application as an intervention in clinical practice. This study provided a basis for board games as a therapeutic tool in clinical interventions and lays the groundwork for further research.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찬영,김상근,김기승,공학중,최윤호,김우열,이유나. (2024).치매 환자에게 적용한 보드게임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 6 (2), 35-47

MLA

김찬영,김상근,김기승,공학중,최윤호,김우열,이유나. "치매 환자에게 적용한 보드게임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 6.2(2024): 35-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