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토(淨土)의 치유적 의미 연구
이용수 2
- 영문명
- A Study on the Healing Meaning of the Pure Land(淨土)
- 발행기관
- (사)인문학과 명상연구소
- 저자명
- 김선화
- 간행물 정보
- 『명상상담과 인문교육』제2권 제2호, 69~8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불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정토’는 불교에서 고통이 없는 이상적인 세계로 묘사된다. 이는 번뇌에서 벗어나 평안을 얻고자 하는 인간의 염원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불교의 ‘정토’에 담긴 치유적 의미와 현대적 관점에서 정토의 역할에 관하여 고찰하는 것이다. 먼저 정토삼부경과『유마경』, 그리고『법화경』을 중심으로 정토의 개념과 의미를 탐색한 후, 심리적 치유공간으로서의 정토의 의미를 사찰과 순례길을 통해 찾아보았다. 그리고 현대적 관점에서 정토가 갖는 의미와 역할에 대하여 생각해 보았다. 본 연구는 정토 관련 연구가 주로 종교적 관점에 한정된 기존 연구들과 달리, 심리학적 접근을 통해 정토가 현대인들에게 더 나은 삶을 위한 심리적 자원으로서 의미가 있음을 조명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e Land (淨土) is described in Buddhism as an ideal world free from suffering, reflecting humanity’s aspiration to transcend afflictions and attain pe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healing significance of the Pure Land and its role from a contemporary perspective. The research first examine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Pure Land through the Three Pure Land Sutras and the Vimalakirti Sutra, and the Lotus Sutra delving into the underlying meanings of the Pure Land. Subsequently, it investigates the Pure Land as a healing space, focusing on temples and pilgrimage paths, drawing on related studies. Finally, the study considers the modern implications and roles of the Pure Land. Unlike previous studies on Pure Land that were mainly limited to religious perspectives, this study used a psychological approach to shed light on the significance of Pure Land as a psychological resource for a better life for modern people.
목차
Ⅰ. 서론
Ⅱ. 불교 경전에서의 정토
Ⅲ. 심리적 치유 공간으로서의 정토
Ⅳ. 현대적 관점에서 정토의 의미와 역할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