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초 연계를 고려한 초등학교 1-2학년 음악 지도 방안 연구
이용수 35
- 영문명
- A Study on Music Teaching Strategies in the 1-2 Grade of Elementary School Considering the Connection with Kindergarten
- 발행기관
- 한국영유아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탁유진
- 간행물 정보
- 『영유아음악교육연구』제3권, 67~8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초 연계를 고려하여 초등학교 1-2학년 시기에 다루어야 할 음악 개념과 지도방안을 도출함으로써 학생들의 음악성 신장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3-4학년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분석하였으며, 초등학교 1-2학년 통합교과에서 다루어야 할 음악 지도 내용을 체계적으로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1-2학년 시기에 다루어야 할 음악 개념으로 리듬, 가락, 빠르기, 셈여림, 음색이 도출되었다. 또한 통합교과를 분석한 결과 다양한 악곡과 음악 개념, 활동 영역이 균형 있게 포함된 음악교육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한 음악 지도 방안을 제시하며, 초등 저학년의 음악성 신장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유·초 연계 교육의 관점에서 음악교육의 발전에 기여하고, 향후 연계성과 체계성을 갖춘 음악 학습 지도 방안이 마련되는 데 유용한 참고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study examines music concepts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appropriate for first and secon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focusing on fostering musicality through a connection between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education (ECCE). By analyzing the Nuri Curriculum alongside third and fourth-grade curricula and textbooks, this study identifies music content and instructional methods suitable for first and second-grade integrated subjects. The findings suggest key music concepts, such as rhythm, melody, tempo, dynamics, and timbre, as essential elements for early elementary education. Furthermore, an analysis of integrated subject textbooks revealed the need for balanced inclusion of diverse musical pieces, concepts, and activity areas to ensure comprehensive music education. Finally, the study proposes utilizing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to enhance music education. This research aim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usic education from an ECCE perspective and anticipates the establishment of systematic and connected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enhancing musicality in young learners.
목차
Ⅰ. 서론
Ⅱ. 통합교과에서 다루어져야 하는 음악 지도 내용
Ⅲ. 음악교육의 관점에서 본 통합교과의 문제점
Ⅳ.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초등학교 1-2학년 음악 지도 방안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현장의 목소리> 영유아 교육기관에서 음악 놀이의 중요성과 교사의 지원
- 그림책 감상과 연계한 음악활동에서 만 2세 영아가 보이는 음악 놀이 양상과 음악 능력의 변화
- 2022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1-2학년 통합 교과에 나타난 음악 놀이 분석 연구
- 유아의 전인적 발달을 위한 뮤지컬 프로그램 개발
- 유·초 연계를 고려한 초등학교 1-2학년 음악 지도 방안 연구
- 영유아교사의 음악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에 관한 연구
- <2024 춘계학술세미나> 영유아의 움직임과 음악교육을 위한 창의적 접근
- <현장의 목소리> 유아 교육기관에서의 음악 놀이 실제
- <2024 추계학술세미나> ‘음악을 즐기는 유아’의 관점에서 본 2024년 추계학술대회
- <호모 무지쿠스 북콘서트> 뇌, 진화, 인간의 본성, 그리고 여섯 가지 노래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AI인 ‘Text to Music’을 집단탐구모형에 적용한 음악 창작지도 설계 방안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한국 음악소양 검사 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 타당도 연구
- 지역형 초등국악 교사학습공동체의 참여경험 탐색 - 초점집단면담(FGI)을 중심으로 -
- 포스트 휴먼 시대, 실천적 미적 교육으로서 음악교육의 가치 탐색 - 자기 이해와 타자 이해에의 조망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