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의 전인적 발달을 위한 뮤지컬 프로그램 개발
이용수 64
- 영문명
- Development of a Musical Theater Program for Holistic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영유아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이예진
- 간행물 정보
- 『영유아음악교육연구』제3권, 37~6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새롭게 개편될 교육과정에 대비하여 유아의 전인적 발달을 지원하는 뮤지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행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예술경험 영역에서 시행된 뮤지컬 교육을 문헌을 선정 및 분석 후 총 4가지의 발달 영역별로 유아 뮤지컬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 및 모형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총 다섯 단계의 연구 설계과정을 통해 유아의 전인적 발달(신체적, 사회적, 인지적・음악적)을 도모하는 뮤지컬 프로그램 및 교육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유아 발달 영역에 기반한 뮤지컬 프로그램 설계의 중요성은 물론 뮤지컬의 통합적 성격과 개별 예술 요소의 균형 있는 활용이 필요함이 도출되었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유아의 다양한 발달을 촉진하며, 교사와 예술 강사가 음악, 동극, 움직임을 통합적으로 활용하여 유아에게 풍부한 심미적 경험을 제공하고 전인적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usical program that supports the holistic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in preparation for the newly revised curriculum. To achieve this, the study involved selecting and analyzing literature on musical education implemented within the "Arts Experience" domai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Based on this analysis, a musical program was designed with a focus on four developmental domains, and a comprehensive educational model was derived. Through a five-stage research design process, a musical program and educational model were developed to foster the holistic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encompassing physical, social, cognitive, and musical aspects. The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designing musical programs grounded in developmental domains and emphasizes the necessity of achieving a balanced integration of musical theater’s components. The developed program aims to enhance various aspects of children’s development by enabling teachers and teaching artists to integrate music, drama, and movement, thereby providing children with enriched aesthetic experiences and contributing to their holistic growth.
목차
Ⅰ. 서론
Ⅱ. 유아기 발달 특성 및 2019 개정 누리과정 내 뮤지컬 교육
Ⅲ. 연구방법
Ⅳ. 유아의 전인적 발달을 위한 뮤지컬 프로그램 설계
V.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현장의 목소리> 영유아 교육기관에서 음악 놀이의 중요성과 교사의 지원
- 그림책 감상과 연계한 음악활동에서 만 2세 영아가 보이는 음악 놀이 양상과 음악 능력의 변화
- 2022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1-2학년 통합 교과에 나타난 음악 놀이 분석 연구
- 유아의 전인적 발달을 위한 뮤지컬 프로그램 개발
- 유·초 연계를 고려한 초등학교 1-2학년 음악 지도 방안 연구
- 영유아교사의 음악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에 관한 연구
- <2024 춘계학술세미나> 영유아의 움직임과 음악교육을 위한 창의적 접근
- <현장의 목소리> 유아 교육기관에서의 음악 놀이 실제
- <2024 추계학술세미나> ‘음악을 즐기는 유아’의 관점에서 본 2024년 추계학술대회
- <호모 무지쿠스 북콘서트> 뇌, 진화, 인간의 본성, 그리고 여섯 가지 노래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AI인 ‘Text to Music’을 집단탐구모형에 적용한 음악 창작지도 설계 방안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한국 음악소양 검사 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 타당도 연구
- 지역형 초등국악 교사학습공동체의 참여경험 탐색 - 초점집단면담(FGI)을 중심으로 -
- 포스트 휴먼 시대, 실천적 미적 교육으로서 음악교육의 가치 탐색 - 자기 이해와 타자 이해에의 조망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