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보육교직원용 다차원적 심리건강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이용수 0

영문명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ventory for Childcare Professionals
발행기관
인지발달중재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인지발달중재학회지』제15권 제4호, 73~9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직원의 심리건강을 평가하기 위한 자기보고식 검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개발된 심리건강 검사의 문항과 요인에 있어서 어느 정도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이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검사 개발과 타당화를 위해 선행연구와 문헌조사를 거쳐 144개의 예비문항을 구성한 뒤, 전국 대상의 20-50대 보육교직원 439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문항 내용분석, 상관분석, 신뢰도 검토 등을 통해 내용타당도를 확인하여 최종 115개의 본검사 문항을 확정한 뒤 보육교직원 623명을 대상으로 본검사를 실시하고, 자료에 대해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사용하여 구인타당도(수렴타당도, 판별타당도), 준거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개발된 검사는 내용에 따라 환경과 개인,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을 고루 포함하여 8개 요인(직무환경, 직무소진, 성격강점, 성격약점, 내재화 문제, 조직화 문제, 심리적 안녕감, 대처전략)으로 구분되었고, 이에 따른 확인적 요인분석의 적합도가 양호하였고 표준화계수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가 확인되어 해당 검사의 구인타당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 기존 검사들(교사효능감, 직무만족, 조직몰입, 긍정정서)과의 준거타당도를 검토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패턴을 보여, 개발된 검사의 타당도를 전반적으로 확보하였다. 결론: 보육교직원의 직무 특성을 반영하여 이들의 심리건강을 측정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검사는 보육교직원의 심리적 문제뿐 아니라 성격 강점과 자원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며 양호한 심리측정적 타당도를 갖췄다. 개발된 검사가 보육 장면에서 두루 사용되어 보육교직원의 안녕과 영유아들의 복지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self-report inventory to assess the psychological health of childcare professionals. Additionally, the study also aims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tems and factors within the developed psychological health assessment. Methods: A preliminary set of 144 items was crea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review. The initial test was administered to a nationwide sample of 439 childcare professionals aged 20 to 50. Content validity was assessed through item content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liability checks, resulting in a final selection of 115 items. This finalized test was subsequently administered to 623 childcare professionals,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verify construct validity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and criterion validity. Results: The developed inventory included a balanced range of protective and risk factors across eight factors: work environment, job burnout, personality strengths, personality weaknesses, internalizing problems, organizational issue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oping skills.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d good model fit, and standardized factor coefficie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dditionally,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confirmed the inventory’s construct validity. Criterion validity was verified through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existing assessments, including teacher efficacy,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ositive affect, confirming the overall validity of the inventory. Conclusions: The psychological health inventory developed in this study reflects the specific job characteristics of childcare professionals. It is designed to assess not only psychological challenges but also personality strengths and resources. The inventory exhibits robust psychometric properties and is expected to serve as a valuable tool in childcare settings in Korea, contributing to the well-being of childcare professionals and the welfare of young children.

목차

서 론
연구방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4).보육교직원용 다차원적 심리건강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인지발달중재학회지, 15 (4), 73-98

MLA

. "보육교직원용 다차원적 심리건강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인지발달중재학회지, 15.4(2024): 73-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