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4차 산업혁명 신기술 교육의 현황과 과제: 지역 과학관 강사들의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이용수 16
- 영문명
- Emerging Technologie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ocusing on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Local Science Museum Instructors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김효영 강주현 박수홍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46권 제3호, 103~13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의 발전은 우리 사회를 빠르게 변화시키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한 교육의 필요성 또한 증대되었다. 이 연구는 4차 산업혁명 관련 신기술 교육의 특징과 과제를 탐구하기 위해 지역의 과학관을 비롯한 다양한 교육기관에서 신기술을 교육하는 강사 8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강사들은 4차 산업혁명 관련 신기술이 미래 사회에 필수적이며, 새로운 기술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문제 해결 능력과 창의적 사고를 기를 수 있어야 한다고 인식했다. 교육 초창기에 비해 4차 산업혁명 신기술 교육은 기회 및 여건이 확대되었으나 교육 환경의 접근성 제한 및 관리의 어려움, 교육의 지속성 부족, 교안 및 평가 기준의 부재 등 다양한 교육 과제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교육의 연속성 확보, 전문가 간 협력에 의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학생 중심의 교육 선택권 부여를 통한 개선 방안을 제안하며, 4차 산업혁명 관련 신기술 교육이 더욱 체계적이고 지속 가능하게 발전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영문 초록
The advancement of technologies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rapidly transforming our society, increasing the need for education to address these changes. This study conducted inᐨdepth interviews with eight instructors teaching emerging technologies at various educational institutions, including regional science museum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challenges of new technology education. The findings reveal that instructors perceive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s essential for the future society and emphasize that new technology education should foster students’ problemᐨsolving skills and creative thinking. While opportunities and conditions for education in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have expanded compared to the early stages, the study identifies several challenges, including limited accessibility to educational environments, difficulties in management, lack of continuity in education, and absence of standardized teaching materials and evaluation criteria. Consequently, this study proposes measures for improvement, such as ensuring continuity in education,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through collaboration among experts, and providing studentᐨcentered choices in education. It underscores the need for technology education to evolve into a more systematic and sustainable practic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학교 광합성 개념에 대한 교사의 지도 개념과 학생의 획득 개념 사이의 개념 네트워크 분석
-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과학 탐구 수업 구성 모델 개발
- Identification of Brain Activity Patterns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on Metaverse-based Ecosystem: An fNIRS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