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팀 기여도 동료평가에서 평가 준거의 구체성에 따른 동료평가에 대한 인식과 동료평가의 효과성
이용수 0
- 영문명
- Perceptions of Peer Assessment and the Effectiveness of Peer Assessment Based on the Specificity of Assessment criteria in Team Contribution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김민정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46권 제3호, 79~10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협력 학습에서 팀 기여도 동료평가를 할 때, 평가 준거의 구체성에 따른 동료평가에 대한 인식과 동료평가의 실제 효과성(팀 기여도에 기여)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동료평가의 구체성은 두 가지 독립변인으로 설정되었는데 하나는 세부적 준거의 사용 여부이고, 다른 하나는 평가 근거의 제시 여부이다. 동료평가에 대한 인식은 동료평가에 대한 유용성과 공정성을 묻는 양적 설문과 개방형 답변으로 측정되었으며, 동료평가의 효과성은 실제 팀 활동에 얼마나 균일하게 팀 참여했나를 기여도 점수를 통해 판단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84명의 학부학생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동료평가에 대한 인식에서는 평가 세부 준거의 사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평가 근거의 제공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동료평가의 사용이 협력학습의 팀 활동 기여에는 실제로 효과가 있는가는 얼마나 균등하게 팀 활동에 참여했는지로 판단하였다. 이에 대해서는 집단D(총체적 준거+무근거)만 다른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팀 기여도가 균등하지 않음이 발견되었다. 정량적 연구결과를 더 명확하게 해석하기 위하여 학습자들의 동료평가에 대한 인식을 담은 개방형 응답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연구결과해석에 엄격성을 더하였다. 연구의 말미에서는 팀 협력 학습에서 학습자의 기여도 증진을 위해 동료평가를 활용할 때의 구체적인 전략을 중심으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learners' perceptions of peer assessment and evaluate its effectiveness based on the specificity of peer assessment criteria in teamᐨbased collaborative learning. The specificity of peer assessment criteria was examined through two independent variables: the use of detailed criteria and the presentation of evaluation grounds. Learners' perceptions were assessed via quantitative surveys and openᐨended questions focused on the usefulness and fairness of peer assessment, while the effectiveness was determined by the extent of equal participation in team activities, measured by actual team contribution scores. A total of 84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use of detailed criteria didn't show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but the provision of evaluation grounds significantly influenced learners' perceptions of the usefulness and fairness of peer assessment, though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two was found. This suggests that regardless the use of specific criteria, evaluation grounds are provided enhances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fairness of peer assessment in evaluating team contributions. Moreover, the study found that group D (which used holistic criteria without providing evaluation grounds) demonstrated relatively unequal team contributions compared to other groups, highlighting the impact of specific peer assessment methods on team contribution within collaborative learning settings. To further clarify the quantitative results, openᐨended responses reflecting learners' perceptions of peer assessment were thoroughly reviewed to interpret the findings. The discussion was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suggesting specific strategies for utilizing peer assessment to enhance learners' contributions in collaborative learning setting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학교 광합성 개념에 대한 교사의 지도 개념과 학생의 획득 개념 사이의 개념 네트워크 분석
-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과학 탐구 수업 구성 모델 개발
- Identification of Brain Activity Patterns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on Metaverse-based Ecosystem: An fNIRS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