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유아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보육교사의 교사교육 요구 및 인식
이용수 21
- 영문명
- Educational needs and awareness of child care teachers for ESD in infants
- 발행기관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저자명
- 이은희 김초롱 권미량
- 간행물 정보
- 『생태유아교육연구』제23권 제4호, 63~9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보육교사 교육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필요성과 목적, 교육의 내용 및 운영방식에 대한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3년 9월 중 전국에 소재한 현직 보육교사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그 결과 지속가능발전교육 용어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교사 교육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교적 높은 요구도를 보인 교사 교육의 내용으로는 환경보존 영역, 사회통합 영역, 경제성장 영역으로 나타났다. 설문에 참여한 대부분의 보육교사가 교사교육에 참여할 의향이 있다고 하였으며 운영방법으로는 보수교육 혹은 직무교육, 유형은 온라인사이버강의, 기간은 단기집중교육, 구성은 이론과 실기의 균형, 20명 이하의 집단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요구를 반영한 현실성 있는 프로그램이 구성되어 영유아 지속가능발전 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gathered foundational data for the education of childcare teachers in the field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for young children. The study explored the necessity
and objectives of teacher education, as well as childcare teachers’ demands regarding the content and operational methods of education. The survey targeted 500 currently employed childcare teachers nationwide,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3rd to 7th, 2023.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SPP 2.0.0 statistical software, an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ross-tabulation were conducted. Post hoc analysis was conducted in cases where the results of difference testing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regarding the term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as notably high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which suggests an increasing interest in such education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Factors such as age, qualifications, work institutions, and assigned age groups exhibi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xecution and challenges faced in practicing ESD for young children. The majority of childcare teachers expressed the need for teacher education in ESD, with a significant demand for customized and diverse information and materials. Many reported never having received teacher education in ESD before, thus indicating a necessity for tailored and accessible training programs. The demands for the content of teacher education were observed in three primary perspectives of ESD: environmental conservation, social integration, and economic growth, in that order. Teachers’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approaching these three areas not as independent subject matter but rather via an integrated approach should be cultivated through education. Childcare teachers expressed a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eacher education programs, with a preference for in-service or on-the-job training, and a strong preference for online cyber lectur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생태유아교육연구 제23권 제4호 목차
- 텃밭과 재활용품 놀이를 통한 영아 지속가능발전교육(ESD) 사례연구
- 생태유아교육기관 부모참여 실제와 교사의 인식 고찰
- 유아교사의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창의적 교실문화의 다중매개효과
- 영유아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보육교사의 교사교육 요구 및 인식
- 양육자 및 교사와의 자연환경 정기적 방문 여부 및 방문 빈도가 유아의 리더십 발달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능력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놀이 민감성 간의 관계에서 긍정적 및 부정적 놀이신념의 다중매개효과
- 전북 유아 숲 · 생태놀이 체험장 조성 방안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