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음악치료사의 공감피로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이용수 97

영문명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Effect of Music Therapist’s Comapassion Fatigue on Burnout
발행기관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저자명
오지은 황은영
간행물 정보
『예술심리치료연구』제20권 제3호, 45~6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음악치료사의 공감피로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그 사이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음악치료 관련 자격증 소지자이며 2023년 10월 12일부 터 11월 11일까지 한국음악치료학회와 전국음악치료사협회를 통해 메일로 설문을 배부하고 수 집된 9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공감피로를 측정하기 위해 Figley(1995)의 공감만족/공감피로 자가 측정도구를 Stamm(2010)이 수정, 보완한 공감피로 버전5를 사용하였으며 소진에 대한 척 도는 Maslach와 Jackson(1981)의 Maslach Brunout Inverntory(MBI)를 최혜윤(2003)이 번안한 척도를,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해 박지원(1985)이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공감피로, 소진, 사회적 지지의 차이가 있었다. 둘째, 공감피로는 사회적 지지 전체 점수와 모든 하위 유형에, 소진은 사회적 지지 전 체 점수와 모든 하위 유형에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공감피로는 소진 전체 점수와 모든 하위 요인과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공감피로는 소진 전체 점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 치며 사회적 지지의 하위 요인 중 정서적 지지가 유의한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음악치료사의 공감피로와 소진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알 수 있 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여 음악치료사들의 소진을 관리하 여 예방 및 대처 할 수 있는 방안 마련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passion fatigue of music therapists on burnou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Data from 92 people was analyzed. A survey was distributed via email through the Korean Music Therapy Association and the National Music Therapist Association. To measure compassion fatigue, V5, which Stamm(2010) modified the tool in Figley(1995), was used. The scale for burnout was Maslach & Jackson’s(1981) MBI, which adapted by Choi(2003), was used and for social support, a scale developed by Park(1985) was us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compassion fatigue, burnout and social support depending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econd, compassion fatigu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social support score and all sub-factors, and burnout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social support score and all sub-factors. Compassion fatigu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burnout score and all sub-factors. Third, compassion fatigu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core of burnout, and emotional support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among the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This study aims to ascertain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with the significance lying in devising measures to prevent and cope with the burnout of music therapists.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문제
Ⅱ. 연구 방법
1. 연구 모형
2. 연구 대상
3. 측정 도구
4.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음악치료사의 공감피로, 소진, 사회적지지 수준 분석 결과
2. 음악치료사의 공감피로, 소진, 사회적지지 간의 상관관계
3. 음악치료사의 공감피로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지은,황은영. (2024).음악치료사의 공감피로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예술심리치료연구, 20 (3), 45-66

MLA

오지은,황은영. "음악치료사의 공감피로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예술심리치료연구, 20.3(2024): 45-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