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민화의 미술치료적 의미 고찰 - 매체와 제작기법을 중심으로 -

이용수 137

영문명
A Study on the Art Therapeutic Meaning of Korean Folk Painting
발행기관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저자명
박완용
간행물 정보
『예술심리치료연구』제20권 제3호, 23~43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민화의 다양한 미술치료적 의미를 고찰하기 위해 민화의 형식적 특성에 속하는 매체와 제작기법을 중심으로 그 의의를 알아보고 미술치료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 는 데 연구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민화에 대한 기존의 선행 연구논문과 자료를 분석하 고 기법서를 통한 민화 기법을 재현하여 민화의 전통적 매체와 방법의 치료적 요인과 적용을 모색하였다. 민화는 많은 사람의 집단무의식이 의식화하는 과정에서 예술이라는 매체로 승화되 어 민중의 억눌린 감정해소와 긍정적 실현이 정신적 안정과 통합을 이룰 수 있는 치유적 효과 를 가지고 있다. 또한 민화의 제작과정을 통하여 내담자의 심리를 파악하고 억압되어 있는 심 리 정서적인 요소를 상징과 함께 외연화 시키고, 그 표현과정에서 심리적 갈등의 완화 및 재편 성으로 자기실현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민화의 매체인 문방사우와 물감은 사물의 사 실적 묘사보다는 제작자의 뜻과 의미를 전달하게 만들어진 사의적(寫意的) 매체이다. 따라서 그 제작 의도를 잘 알아야 매체의 적절한 표현을 찾을 수 있다는 의미에서 매체의 기본적인 구성요소와 만드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그 매체에 최적화된 기법으로 초본을 사용하는 임 모, 집중력을 필요로 하는 선묘, 색을 겹쳐 칠하여 깊이감을 내는 중색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rious art therapeutic meanings of korean folk paintings focused on the media and manufacturing techniques belonging to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folk paintings for the applicability in the field of art therapy. This study conducted preceding research data papers on korean folk painting, and searched the ways to apply therapeutic factors of traditional media and methods of korean folk paintings by reproducing korean folk painting techniques through technique books. Korean folk paintings are transformed as an art form in the process of becoming aware of the collective unconsciousness. It has a healing effect that can relieve the people's suppressed emotions and achieve positive realization that could be achieved spiritual comfort and integration. In addition, through the process of creating folk paintings, the client's psychology is understood and repressed psychological and emotional elements are externalized with symbols, and self-realization can be achieved. Munbangsau(The Four Friends of the Study) and paints, the medium of these folk paintings, are private mediums created to convey the creator's will and meaning rather than realistic depictions of objects. Therefore, we looked at the basic components of the medium and the process of making it. Also, we looked at the aspects of drawing using a rough draft, line drawings that require concentration, neutral colors that create depth by layering colors as a technique optimized for the medium.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과 의의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Ⅱ. 본론
1. 민화의 형성과 특징
2. 민화의 미술치료적 의미
Ⅲ.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완용. (2024).민화의 미술치료적 의미 고찰 - 매체와 제작기법을 중심으로 -. 예술심리치료연구, 20 (3), 23-43

MLA

박완용. "민화의 미술치료적 의미 고찰 - 매체와 제작기법을 중심으로 -." 예술심리치료연구, 20.3(2024): 23-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