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오픈 스튜디오 프로세스(OSP)가 미술치료사의 자기효능감, 자기돌봄, 미술중재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 of the Open Studio Process (OSP) on Art therapists’ Self-Efficacy, Self-Care, and Art-Based Intervention
발행기관
한국미술치료학회
저자명
박주연 김선희
간행물 정보
『미술치료연구』제31권 제5호, 987~1005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0.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를 대상으로 오픈 스튜디오 프로세스(Open Studio Process: 이하 OSP)가 미술치료사의 자기효능감과 자기돌봄, 미술중재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미술치료 전공 석사 이상 학위를 취득한 미술치료사로 모집된 40명을 실험집단, 통제집단 두 집단으로 각각 20명씩 무선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는 2021년 6월부터 11월까지 주 1회 120분, 총 6회의 OSP를 실험집단에 제공하고, OSP 시작 전, 후 예술치료사 자기효능감 척도(CAT-SES), 한국판 상담자 자기돌봄 척도(K-SCAP)를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OSP제공 없이 실험집단과 같은 시기에 동일한 척도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두 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비교를 위하여 SPSS 2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미술중재인식(ABI) 질문지는 OSP에 참여한 13명에게 사전․사후 실시 후 집단 내 비교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OSP 실시 후 실험집단의 예술치료사 자기효능감 점수는 향상되었으며, 이는 통제집단과의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OSP 실시 후 실험집단의 한국판 상담자 자기돌봄 점수는 향상되었으나, 통제집단 간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OSP를 경험한 실험집단의 미술중재인식 점수는 향상되었으며, 점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Open Studio Process (OSP) on art therapists' self-efficacy, self-care, and art-based intervention. The participants were 40 art therapists who a master's or higher art therapydegree.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n experimental or a control group, with 20 participants in each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six 120-minute OSP sessions, once a week from June to November 2021. The Creative Arts Therapists Self-Efficacy Scales (CAT-SES)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Self-Care Assessment for Psychologists (K-SCAP) were administered to both group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control group underwent the same pre- and post-assessments without participating in the OSP.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8.0 to compare the pre- and post-test results of the two groups. Additionally, the Art-Based Intervention (ABI)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13 participants who completed the OSP, with comparisons made within the group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efficacy scores of the art therapists in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after the OSP,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self-care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after the OSP,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perceptions of art-based interventions among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nts improved after experiencing the OSP,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scor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연구대상 및 연구절차
측정도구
예술치료사 자기효능감 측정도구
한국판 상담자 자기돌봄 측정도구
미술중재인식 질문지
OSP (Open Studio Process) 프로그램
자료수집
자료분석
Ⅲ. 결과
집단 간 사전 동질성 검증 결과
예술치료사 자기효능감 척도의 사전-사후 변화
한국판 상담자 자기돌봄 측정도구 사전-사후 변화
미술중재인식 변화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주연,김선희. (2024).오픈 스튜디오 프로세스(OSP)가 미술치료사의 자기효능감, 자기돌봄, 미술중재인식에 미치는 영향. 미술치료연구, 31 (5), 987-1005

MLA

박주연,김선희. "오픈 스튜디오 프로세스(OSP)가 미술치료사의 자기효능감, 자기돌봄, 미술중재인식에 미치는 영향." 미술치료연구, 31.5(2024): 987-10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