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 하위요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직무내용, 보상체계, 인간관계, 근무환경을 중심으로
이용수 69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Sub-factors on Turnover Intention of Social Workers: Focusing on Job Content, Compensation System, Human Relationships and Wort Environment
- 발행기관
- 한국사례관리학회
- 저자명
- 김근홍(Kim, Keun-Hong) 이종우(Lee, Jong-Woo) 김현준(Kim, Hyun-Joon)
- 간행물 정보
- 『사례관리연구』제15권 제2호, 125~14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직무만족도와 직무만족의 하위요인이 이직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데 있다. 분석결과,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도가 높아질수록 이직의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만족에서의 하위요인인 직무내용, 인간관계, 보상체계, 근무환경 모두 만족 정도가 높아질수록 이직의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직무만족도를 높임과 함께 비정규직 비율 감소, 일생활 균형의 조직문화 안착, 긍정적 인간관계 형성, 소진에 대한 전문적 관리체계 및 지원과 정책 마련 등이 중요한 현안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수체계의 실효성 제고나 교육훈련 및 경력개발 프로그램 활성화와 과도한 업무부담의 개선, 다양한 포상체계 마련 등을 제시함으로써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 논의한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turnover intention and job satisfaction sub-factors using data from a survey of social work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the lower the intention to turnover. Furthermore, it has been established that a higher level of job satisfaction correlates with lower intentions to leave the company, as measured by factors such as job content, compensation, human relations, and working environment. Thus, it was discovered that improving job satisfaction, lowering the percentage of irregular employees, creating a work-life balance in organizational culture, building strong relationships, and setting up professional management systems, support, and burnout policies were major elements in lowering social workers’ intentions of leaving. Specifically,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presented and discussed by proposing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remuneration system, revitaliza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and career development programs, improvement of excessive workload, and establishment of various reward system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참여동기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그릿의 매개효과
- 8급 이하 사회복지전담공무원 교육, 어떤 역량에 집중해야 하는가? -Borich요구도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Model 활용-
- 자살유가족 상담업무를 수행하는 사회복지사의 대리외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치매어르신 가족돌봄 지원방안 마련을 위한 질적 연구 -제주지역 가정 내 가족돌봄자 대상을 중심으로-
- 가족센터 실무자의 가족중심실천이 가족의 대처능력에 미치는 영향: A시 가족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 랜덤포레스트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탐색
-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 하위요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직무내용, 보상체계, 인간관계, 근무환경을 중심으로
- 노인의 사회참여 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저출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청소년의 학교생활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