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화다양성 인식 조사 연구: 서울시 D구를 중심으로
이용수 59
- 영문명
- A study on cultural diversity perception : Focusing on D-gu, Seoul
- 발행기관
- 한국정신건강및행동분석학회
- 저자명
- 소용준 박준성 이산호
- 간행물 정보
- 『정신건강및행동분석연구』제7권 제2호, 5~2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문화다양성 실태를 조사하고 인식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히 문화다양성 증진 기대효과, 소수자별 차별 인식, 소수자 집단별 가족 및 동네이웃(주민)으로의 수용도에 관한 질문을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 D 구에 거주하는 성인 202명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태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다양성이 증진됐을 때 기대할 수 있는 효과에 대하여 문화 · 예술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다라는 인식 평균이 가장 높았으며, 상대적으로 정치와 민주주의가 발전할 것이다라는 인식 평균이 낮았다. 둘째, 소수자 집단별로 지역사회로부터 차별당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대하여 청소년, 여성, 아동에 대한 차별은 없다고 응답하였으나, 성소수자, 중국동포(조선족),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차별은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셋째, 소수자 집단별로 가족으로의 수용도와 동네이웃으로의 수용도는 성소수자, 중국동포(조선족), 난민이 낮았다. 실태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후속 연구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perception of cultural diversity in Korea. In particular, questions were asked about the expected effects of cultural diversity promotion, perceptions of discrimination by minorities, and acceptance of minority groups as family members and neighbour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202 adults living in D-gu, Seoul.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perception of the effects of promoting cultural diversity was that cultural and artistic competitiveness would be strengthened, and the average perception of the effects of promoting politics and democracy was lower. Second, when asked whether minority groups were discriminated against by the community, respondents said that there was no discrimination against youth, women, and children, but there was discrimination against LGBT, Chinese compatriots (Koreans), and foreign workers. Third, the acceptance of family members and neighbours by minority groups was lower for LGBT, Chinese compatriots (Koreans), and refuge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further research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 과
Ⅴ. 논 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Recent advances in Neurofibromatosis type 1 research: Towards tailored therapeutics and treatment strategies
- Molecular and clinical delineation of patients with fatty acid oxidation disorder: A single center’s experience
- Chromosomal microarray analysis in pregnancies with prenatal ultrasound abnormalities according to the involved organ system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