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디지털 키오스크의 이원경험 모델

이용수 77

영문명
The Dual Experience Model of Digital Kiosk Users
발행기관
한국광고PR실학회
저자명
전종우
간행물 정보
『광고PR실학연구』제17권 제3호, 63~81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 키오스크 이용자에 대한 학문적인 연구가 부족한 현실에서 이용경험의 역할에 대해 탐구한 것이다. 이용자 경험의 선행요인으로 종합적 사고경향과 용이성을 포함하였고 결과 요인으로 OOH미디어에 대한 태도를 연구모델화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종합적 사고경향은 디지털 키오스크 조작에 대한 용이성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종합적 사고경향은 또한 디지털 키오스크에 대한 지성 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종합적 사고경향이 디지털 키오스크에 대한 감성경험에 미치는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미디어 용이성 지각은 디지털 키오스크에 대한 지성경험과 감성경험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 경험 수준이 높아지면 개인 인식 키오스크에 대한 태도가 호의적이었지만 지성경험 수준은 태도와 관련이 없었다. 마지막으로 미디어 용이성 지각 수준이 높으면 개인 인식 키오스크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디지털 키오스크와 같은 미디어에 있어서 종합적 사고경향과 용이성이 이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과 태도와의 관계에 대해 학문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 디지털 키오스크 디자인에 있어서도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modeled and verified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user experience for digital kiosks, which are mainly installed in fast food restauran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people with holistic thinking tendencies found it easy to operate the digital kiosk. People with holistic thinking tendencies also showed higher levels of intellectual experience with digital kiosk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hedonic experience of the digital kiosk among people with a holistic thinking tendency. People who perceive media easily showed high level of both intellectual experience and hedonic experience of digital kiosk. People with a high level of hedonic experience had a favorable attitude towards the personal recognition kiosk, but the level of intellectual experience was not related to the attitude. Finally, it was found that people with a high level of perceived easiness had a positive attitude toward personal recognition kiosks. These results provide academic implication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 experience and holistic thinking in media such as digital kiosks, as well as practical implications for digital kiosk design.

목차

서론
이론적 배경
방법론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종우. (2024).디지털 키오스크의 이원경험 모델. 광고PR실학연구, 17 (3), 63-81

MLA

전종우. "디지털 키오스크의 이원경험 모델." 광고PR실학연구, 17.3(2024): 63-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