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과체중 및 비만 환자의 복약기간에 따른 치료효과 및 안전성의 상관관계: 후향적 분석
이용수 39
- 영문명
-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Anti-Obesity Effect and Safety According to Medication Period of Korean Medicine in Overweight and Obese Patients: A Retrospective Analysis
- 발행기관
- 한방비만학회
- 저자명
- 최현 남정훈 이혁재 서기성
- 간행물 정보
- 『대한한방비만학회지』제24권 제1호, 76~86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s: This retrospective study attempted to determine whether the treatment effect improves as the longer the medication for obese patients, also, analyzed whether the long medication increases the burden on liver function.
Methods: The subjects were 278 overweight and obese female patients who took the herbal medicine Jibangsayak (JBSY) for more than 15 day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uration of medication and the treatment effect was confirmed, and the correlation with the safety was also analyzed.
Results: JBSY significantly reduced all obesity-related measures after treatment. All these valuables before treatment were not factors in determining the duration of medication. As the duration increased, the body mass index (BMI) improvement decreased and lean body and muscle mass increased. As the duration was closer to 60 days, BMI improvement increased, and in more than 90 days group, the BMI and body fat percentage improvement stagnated as the duration longer.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nd gamma-glutamyl transferase decreased after treatment. Additionally, AST decreased as the duration increased.
Conclusions: This result suggests that not only the high obesity-related measures at first visit not lengthen the duration of JBSY medication. And liver function levels did not worsen as the duration increased. This result is different from the general perception that the longer the duration of medication, the greater the burden on patient’s drug metabolism. However, the fact that other factors that could affect liver function could not be excluded and that kidney function evaluation should have been performed simultaneously ar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require more detailed research in the future.
영문 초록
목차
서론
대상 및 방법
결과
고찰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식이유도 비만 동물모델에서 마르멜로추출물의 항비만 효능 비교 연구
- 중고도비만 환자에 대한 가미태음조위탕의 활용: 후향적 차트 리뷰
- 마황과 의이인 혼합추출물이 비알콜성 지방간 모델에서 지질 축적 및 포도당 흡수에 미치는 효과 및 기전 연구
- 과체중 및 비만 환자에서 한⋅양방 의료 이용과 관련된 요인분석: 제2기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중심으로
- 가미태음조위탕 2주 복용이 과체중 또는 비만 환자의 혈압, 맥박수 및 체중에 미치는 영향: 후향적 차트리뷰
- 과체중 및 비만 환자의 복약기간에 따른 치료효과 및 안전성의 상관관계: 후향적 분석
- 한의 비만 클리닉에서 확인된 마황 함유 한약 복용 중 암페타민 면역측정법의 위양성 사례 및 휴약 후 음성 사례의 후향적 분석연구
- 한약 및 절식요법을 포함한 한의 종합 치료와 공간척추도인안교를 병행한 청소년 비만 환자의 체성분 변화 증례보고 1예
- Effect of Lythrum salicaria Extract on Body Fat Reduction: A Protocol for a Randomized, Double-Blinde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 The Herbal Formula C-DM3 Improves the Changes of Diabetes- Related Biomarkers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through Regulation of the IRS1/PI3K/AKT and AMPK Signaling Pathways in the Liver and Pancreas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한의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한의학분야 NEW
-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제19권 제2호 목차
- 청소년 특발성 척추측만증에 대한 추나 치료의 임상적 효능 :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분석
- 자폐스펙트럼 장애 치료를 위한 수기요법 경혈에 관한 임상적용 현황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