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과체중 및 비만 환자에서 한⋅양방 의료 이용과 관련된 요인분석: 제2기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중심으로
이용수 39
- 영문명
- 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the Use of Both Korean and Western Medicine Treatment in Patients with Overweight and Obesity: Based on the Korea Health Panel Annual Data 2019
- 발행기관
- 한방비만학회
- 저자명
- 권찬영
- 간행물 정보
- 『대한한방비만학회지』제24권 제1호, 41~5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s: We used the Korea Health Panel Annual Data 2019 to analyze factors related to visits to both Korean medicine and Western medicine (WM) outpatient clinics among patients with overweight and obesity.
Methods: The inclusion criteria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dults over 18 years of age, 2) overweight or obese with a body mass index of 25.0 or more, 3) visited WM outpatient clinics at least once during 2019. Total 2,963 individuals were included in WM group or integrative medicine (IM) group. Using the Andersen healthcare utilization model, factors related to healthcare utilization of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factors associated with IM use.
Results: Among the participants, 80.49% (n=2,385) were assigned to WM group and 19.51% (n=578) to IM group.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factor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use of IM included the elderly over 65 years of age, sex (men), college or higher education level, residential area (Gwangju/Jeolla/Jeju), presence of cancer, and presence of musculoskeletal disease. The main diagnosis associated with both WM and IM use was most frequently musculoskeletal conditions. Also, IM group received WM treatment for musculoskeletal conditions more frequently compared to WM group.
Conclusions: This study is the first to analyze healthcare utilization patterns among overweight or obese patients in Korea. The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the presence of musculoskeletal conditions, especially in this population, may be strongly associated with concurrent use of IM services.
영문 초록
목차
서론
대상 및 방법
결과
고찰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식이유도 비만 동물모델에서 마르멜로추출물의 항비만 효능 비교 연구
- 중고도비만 환자에 대한 가미태음조위탕의 활용: 후향적 차트 리뷰
- 마황과 의이인 혼합추출물이 비알콜성 지방간 모델에서 지질 축적 및 포도당 흡수에 미치는 효과 및 기전 연구
- 과체중 및 비만 환자에서 한⋅양방 의료 이용과 관련된 요인분석: 제2기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중심으로
- 가미태음조위탕 2주 복용이 과체중 또는 비만 환자의 혈압, 맥박수 및 체중에 미치는 영향: 후향적 차트리뷰
- 과체중 및 비만 환자의 복약기간에 따른 치료효과 및 안전성의 상관관계: 후향적 분석
- 한의 비만 클리닉에서 확인된 마황 함유 한약 복용 중 암페타민 면역측정법의 위양성 사례 및 휴약 후 음성 사례의 후향적 분석연구
- 한약 및 절식요법을 포함한 한의 종합 치료와 공간척추도인안교를 병행한 청소년 비만 환자의 체성분 변화 증례보고 1예
- Effect of Lythrum salicaria Extract on Body Fat Reduction: A Protocol for a Randomized, Double-Blinde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 The Herbal Formula C-DM3 Improves the Changes of Diabetes- Related Biomarkers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through Regulation of the IRS1/PI3K/AKT and AMPK Signaling Pathways in the Liver and Pancreas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한의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한의학분야 NEW
-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제19권 제2호 목차
- 청소년 특발성 척추측만증에 대한 추나 치료의 임상적 효능 :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분석
- 자폐스펙트럼 장애 치료를 위한 수기요법 경혈에 관한 임상적용 현황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