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아동센터 아동복지교사지원사업 실무지침의 개선 방향 -아동복지교사지원사업의 문제점과 개선을 중심으로-
이용수 88
- 영문명
- Proposals for improving the practice guidelines of the child welfare teacher support project for the community children's centers : focused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of the child welfare teacher support project
- 발행기관
- 사회복지법제학회
- 저자명
- 장영인
- 간행물 정보
- 『사회복지법제연구』제14권 제3호, 43~74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에 대한 정부의 아동복지교사 지원사업 관련 법규정 및 실무지침이 구체적으로 실무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분석함으로써, 실무지침과 현장 실무에서 발생하는 문제와의 연관성을 밝히고 실무지침의 개선을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와 심층면접조사이다. 즉 「아동복지법」의 관련규정 및 주무 관청의 실무지침에 대한 문헌연구를 실시하고, 이러한 법과 지침을 현장에서 실행하 는 실무자, 즉 지자체 담당공무원(5명), 지역아동센터장(4명), 아동복지교사(3명)를 대 상으로 초점집단면접(FGI)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아동복지교사지원사업에 관한 실무지침은 「아동복지법」 상의 지역아동 센터의 목적을 실행하기 위한 세부지침이라기보다 예산집행과 관리 위주의 행정사무안내 의 성격이었다. 또한 실무현장에서 실무자들이 경험하는 다양한 문제점들은 관련 실무지 침의 불충분함, 모호함, 법과 지침 간의 비일관성 등과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다. 특히 지침 중 사업의 목적, 아동복지교사의 역할에 대한 항목은 현장실무자들에게 혼 란을 초래하였다. 따라서 본 사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아동복지법」과 실무지침에서 사업 의 목적, 지원내용, 지원방법 등이 아동중심의 복지제공으로 일관되고 세부적으로 제 시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how the relevant law and practice guidelines are applied to the child welfare teacher support project of community children's centers. This study reveals the relevance of problems occurring in the field practice to the practice guidelines, and suggests how to improve the practical guidelines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ject. In addition to the analysis on the law and practice guidelines related to this support project, FGI was conducted with practitioners who implement law and guidelines in the field, namely, local government officials, heads of community children's centers, and child welfare teachers. The practice guidelines for this support project are those targeting the relevant administrative management rather than those implementing intended child welfare services to the child welfare centers. As a result,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various problems experienced by practitioners in the field were related to insufficiently or vaguely formulated practice guidelines. In particular, the guidelines for the purpose of the project and the role of child welfare teachers caused confusion among field workers.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is support project, child-centered practical guidelines for providing child welfare services should be prepared.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purpose of the project, contents of support, and method of support need to be presented consistently and in detail.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분석틀과 연구방법
1. 분석틀
2.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1. 아동복지교사지원사업의 근거법령과 실무지침 현황
2. 아동복지교사지원사업 실무지침 분석 및 FGI 분석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저출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청소년의 학교생활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