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잠재계층분석(LCA)을 이용한 성별간 여가향유집단에 대한 비교분석 : 문화예술관람과 스포츠참여활동을 중심으로

이용수 26

영문명
A Comparative Analysis of Leisure Groups Using Latent Class Analysis (LCA) between Genders
발행기관
한국여가문화학회
저자명
설정헌 허식
간행물 정보
『여가학연구』제22권 제2호, 39~6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성별간 여가활동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문화예술과 스포츠를 향유하는 성인남녀의 잠재계층분석(LCA)을 실시하여 향유패턴에 따라 집단세분화를 시도하였다. 또한, 옴니보어이론을 토대로 여가활동 내에서 스포츠와 문화예술의 모든 장르를 폭넓게 향유하는 옴니보어 집단의 실존 여부와 결정요인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문화체육관광부의『2022 국민여가활동조사』자료를 사용하였고, 성별별 여가활동 패턴에 따라 ‘비참여’집단, ‘문화예술선호형’집단, ‘스포츠참여형’집단, ‘옴니보어’집단 총 4개의 잠재집단을 도출하였다. 추가로, 다항로짓분석을 통해 각 잠재집단의 결정요인을 확인하여 남녀간 비교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남성의 경우 스포츠 참여형 집단이, 여성은 문화예술 선호형 집단의 크기가 가장 컸으며, 옴니보어 집단의 경우에는 남성보다 여성의 옴니보어집단이 더 컸다. 이처럼, 여가향유에 있어서 남녀간 편향된 모습이 나타났다. 다음으로, 각 집단의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여성의 여가향유에 대한 제약조건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여성의 경우 자녀가 있을수록 문화예술선호형 집단에 속할 확률이 낮아지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배우자가 있을 경우 여성은 스포츠참여형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고, 남성은 문화예술선호형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다는 결과를 통해 배우자의 영향(spouse effect)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과 스포츠의 성별 간 향유격차를 줄일 수 있는 여가활동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중요한 정보를 제공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analyze the leisure activity style between gender, this study attempted to segment the group by conducting a LCA based on the leisure activity patterns of adults who enjoy arts, and sports. In addition, based on the omnivore theory, the existence of an omnivore group that enjoys a wide range of genres of sports and art within leisure activities was confirmed, and the determinants of the group were identified. By using data of the "2022 National Leisure Survey"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of South Korea, four groups that fit the leisure activity pattern of each gender were derived. As a result, both men and women were classified into the "inactive" group, the "cultural/art preference" group, the "sports participation" group, and the "omnivore" group. Furthermore, a comparative analysis of leisure groups between gender was possible by recognizing factors that could belong to each group through multinomial logit regress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or men, the size of the sports participation group was substantial, for women, the size of the cultural/arts preference group was substantial, and the omnivore group of women was larger than that of men. Afterward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eterminants of each group,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constraints on women's leisure, and in the case of women, they have child, the lower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cultural/arts preference group was derived. Lastly the spouse effect was confirmed through the results that women were mor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sports participation group and men were mor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cultural/arts preference group if they had a spo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since the study provided important information in the development of leisure activity programs that can reduce the gender enjoyment gap between cultural/arts and spor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자료 및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설정헌,허식. (2024).잠재계층분석(LCA)을 이용한 성별간 여가향유집단에 대한 비교분석 : 문화예술관람과 스포츠참여활동을 중심으로. 여가학연구, 22 (2), 39-62

MLA

설정헌,허식. "잠재계층분석(LCA)을 이용한 성별간 여가향유집단에 대한 비교분석 : 문화예술관람과 스포츠참여활동을 중심으로." 여가학연구, 22.2(2024): 39-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