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내 장애인의 체육 중심 여가 연구 동향 분석 : 2010년~2023년 연구를 중심으로

이용수 11

영문명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Sports-Centered Leisure Activities among Disabled Individuals in South Korea: Focusing on Studies from 2010 to 2023
발행기관
한국여가문화학회
저자명
박수정 김승환 성종훈
간행물 정보
『여가학연구』제22권 제2호, 1~14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수행된 여가, 장애, 체육과 관련된 연구의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그간의 성과를 점검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여가학 연구에서 장애인의 신체활동에 관한 지향점을 제언하고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학술연구검색사이트에서 여가, 장애, 체육의 키워드를 입력하여 학술논문을 수집하였고, 분류분석 과정을 통해 최종 26편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0년부터 2023년까지 관련분야의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연구물의 수와 범위가 제한적이었다. 둘째, 연구대상을 분석한 결과 지체장애인 대상의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다른 장애유형이나 연령층은 다양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분야를 분석한 결과, 생활체육 분야가 가장 많았고 최근에는 학교체육 분야와 e-스포츠 분야가 대두되어 기초조사 및 토대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방법은 질적, 양적 모두 고르게 활용되고 있었으며, 보다 심도있는 연구를 위해 혼합연구방법을 활용해야 하며, 다양한 연구내용을 기반으로 관련 분야에서의 정책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여가, 장애, 체육 분야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는 토대연구 및 척도개발 연구 등이 수행되어야 하며, 프로그램의 개발, 나아가 실질적 도움이 되는 R&D 연구개발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rends in research related to leisure, disability, and sports conducted in South Korea, to review the achievements to date, identify problems,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leisure studies focused on physical activities for disabled individuals, providing a foundation for further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academic papers were collected through domestic academic research search sites using the keywords leisure, disability, and sports, and through a classification analysis process, 26 paper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research in the related fields has been conducted from 2010 to 2023, the number and scope of studies were limited. Second, an analysis of the research subjects showed that studies predominantly focused on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dicating a lack of diversity in other types of disabilities and age groups. Third, the field of recreational sports was the most researched, with school sports and e-sports emerging as areas requiring foundational research and basic investigations. Fourth,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evenly utilized, suggesting the need for mixed-methods research for more in-depth studies and policy development based on diverse research contents in related fields. Lastly, foundational studies and scale development research that can serve as basic data for the fields of leisure, disability, and sports should be conducted, alongside the development of programs and practical R&D research to provide substantive assista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수정,김승환,성종훈. (2024).국내 장애인의 체육 중심 여가 연구 동향 분석 : 2010년~2023년 연구를 중심으로. 여가학연구, 22 (2), 1-14

MLA

박수정,김승환,성종훈. "국내 장애인의 체육 중심 여가 연구 동향 분석 : 2010년~2023년 연구를 중심으로." 여가학연구, 22.2(2024): 1-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