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교 성론(性論)에서 동중서(董仲舒)의 위상
이용수 95
- 영문명
- The Status of Dong Zhongshu in Confucian Nature Theory
- 발행기관
- 한국종교교육학회
- 저자명
- 임용덕 신창호
- 간행물 정보
- 『종교교육학연구』제76권, 99~11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교의 성론(性論)에서 동중서(董仲舒)의 인성론(人性論)이 차지하는 위상(位相)을 검토하여 유교 인성론의 흐름을 재정립하는 것이다.
[연구 내용] 본 연구에서는 동중서 이전과 이후의 인성론을 성(性)에 관한 추상적 관념론의 차원에서 분석하고, 동중서의 인성론은 매우 구체적인 동시에 현실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이론 체계이자 지침으로 구명하였다. 먼저, 공자-자사-맹자-순자-주자로 이어지는 전통 인성론의 특징을 간략하게 정돈하고, 다음으로 동중서 인성론의 특징을 논의한 후, 유교 인성론의 역사와 내용에 근거한 동중서 인성론의 지위를 재정립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유교 인성론은 공자에서 주자에 이르기까지 추상적 관념론의 차원으로 이해되어 왔다. 둘째, 동중서의 성삼품설은 원시유교의 특성을 종합하는 동시에 주자학의 인성을 여는 단초를 제공하였다. 셋째, 동중서의 성삼품론은 유교 인성론의 중간 지대를 형성하며 구체적인 현실성을 띠면서 정교에 구현되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stablish the flow of Confucian human nature theory by examining the status of Dong Zhongshu’s human nature theory in Confucian nature theory.
[Content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theory of personality before and after Dong Zhongshu was analyzed at the level of abstract idealism about nature, and the theory of personality of Dong Zhongshu was investigated as a theoretical system and guideline that is very specific and can be put into practice in reality.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theory of personality from Confucius, Tzu-Tzu, Mencius, Xunzi, and Zhu Xi were briefly established. Next, the characteristics of Dong Zhongshu’s theories of personality were discussed, and the status of the Dong Zhongshu’s theories of personality based on the history and content of Confucian personality theory was established.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isting Confucian theory of personality has been organized at the level of abstract idealism from Confucius to Zhu Xi. Second, Dong Zhongshu’s theory of the Holy Trinity synthesized the characteristics of primitive Confucianism and at the same time provided a starting point for opening up the character of Confucianism. Third, Dong Zhongshu’s theory of the Holy Trinity formed a middle ground with the Confucian theory of human nature and was embodied in Orthodoxy with specific reality.
목차
Ⅰ. 서론
Ⅱ. 성(性)에 관한 추상적 관념론
Ⅲ. 동중서의 성(性), 그 구체적 현실적 실천론
Ⅳ. 결론 : 유교 성론(性論)의 지형도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종교교육학 연구동향 분석: 불교교육학과 기독교교육학을 중심으로
- 언어네트워크분석에 따른 가톨릭교육의 국내 연구동향
- 종교교양교육으로 보는 마음공부: 감정, 공감, 취사를 중심으로
- 베다문헌에 나타난 지옥 서사의 기원: Jaiminīya-Brāhmaṇa의 브르구에피소드 분석
- 가톨릭대학교 종교교육과 학교사목에 대한 비평적 고찰
- Utilization of Moral Educational Curriculum with a Focus on Value Relationship Circulation in the Metaverse: Centered on Zhu Xi’s Theory of Self-Cultivation and Governing People
- 생성형 AI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활용방안 연구
- 유교 성론(性論)에서 동중서(董仲舒)의 위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사우디 개방개혁 정책과 탈(脫)와하비즘 가능성 연구
- 팔레스타인인들의 국가지위 획득을 위한 투쟁과 실패의 근본적인 원인
- 안달루스 시인 이븐 압드 랍비히의 문학 연구: 문학 활동과 작품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