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 교원의 학생평가 유형에 대한 잠재 프로파일 분석

이용수 25

영문명
The latent Profile Analysis on Student Assessment Styles of Faculty
발행기관
사단법인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저자명
주재홍 주라헬 홍소정
간행물 정보
『대학 교수-학습 연구』제17권 제1호, 1~3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2.29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원이 선호하는 학생평가 방법을 유형화하고, 하위 잠재 집단 간의 차이를 탐색하여 수업 질 제고를 위한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2022년에 실시한 대학 교수·학습 과정에 관한 교수 설문조사(National Assessment of Faculty Engagement in Teaching; NAFET)에 응답한 5,213명의 교원 데이터를 활용해 인간중심 접근 방법인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여 교원의 학생평가 양상을 살펴보았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의 학생평가 양상에 따라 ‘지필평가 지양형’, ‘전통적 평가 지향형’, ‘전반적 학생평가 경시형’, ‘협력 중심 평가 지향형’, ‘개인 작성 평가 지향형’, ‘다면평가 지향형’의 6개 프로파일이 유의하게 식별되었다. 둘째, 본 프로파일을 예측하는 요인은 대학의 연구 및 교수학습 지원, 학과의 교육 과정 및 시스템, 교원의 연구 및 교수학습 지향성 모두 교원이 특정 프로파일에 속할 확률에 대해 유의한 효과를 가졌다. 특히 예측 요인에 대한 교원의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다양한 학생평가를 활용하는 집단에 속할 확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마지막으로, 프로파일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선정한 학습자의 학업 역량에 대한 인식, 동료 교원의 인정, 그리고 교원의 학과 적합성 수준은 일부 집단에 한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수업 질 제고를 위한 교원, 학과 및 학교 차원의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 방향성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he student assessment styles preferred by university faculty and explore differences between sub-potential groups to derive interven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instruction. This study examined faculty’s student assessment styles by conducting latent profile analysis using data from 5,213 respondents to the National Assessment of Faculty Engagement in Teaching in 2022. The main analysis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six profiles were significantly identified based on faculty’s student assessment styles. Second, the university’s research support and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the department’s curriculum and system, and the faculty’s research orienta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orientation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to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each profile. In particular, a higher awareness of predictive factors increased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a group employing various student assessment. Finally, there wer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learners’ academic competency, recognition by co-faculties, and the perception of department fit when examining differences by the each profile. Based on these results, we deriv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roles of faculty, departments, and university institutions in improving instructional quality. We also discussed the research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목차

I .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주재홍,주라헬,홍소정. (2024).대학 교원의 학생평가 유형에 대한 잠재 프로파일 분석. 대학 교수-학습 연구, 17 (1), 1-32

MLA

주재홍,주라헬,홍소정. "대학 교원의 학생평가 유형에 대한 잠재 프로파일 분석." 대학 교수-학습 연구, 17.1(2024): 1-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