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정체성 기반 동기(Identity-Based Motivation) 유형 연구

이용수 53

영문명
Classification of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Identity-Based Motivation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김정아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62권 제1호, 303~32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2.29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개인이 자신의 정체성과 일치하는 목표를 가질 때 동기 수준 및 목표 성취 수준이 높아짐을 설명하는 이론인 정체성 기반 동기(IBM)에 기반하여 대학생을 유형화하고 유형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정체성 기반 동기(IBM)를 구성하는 3가지 요인인 현재와 미래를 연결하는 심리적 연관성(psychological relevance), 행동 준비도(readiness to act), 경험한 어려움 해석(interpretation of experienced difficulty)과 관련된 문항을 추출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7가지 정체성 기반 동기 구성요인—대학교육 효용성에 대한 기대, 대학교육 성과에 대한 기대, 능동적 학습 태도, 수업 참여, 학습 스터디 활동, 학업 관련 상담, 대학교육 만족도—을 투입하여 대학생의 정체성 기반 동기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요인과 대학 요인을 탐색하였다. 한국교육개발원의 ‘대학의 교수・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NASEL)’ 2주기 2022년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층잠재프로파일분석(MLPA)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를 확장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정체성 기반 동기는 다소 낮은 수준이었는데, 이는 사회적 맥락이 학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거나 방해하는 역할을 제대로 하기 어려움을 시사한다. 둘째,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대학교육의 효용성과 성과에 대한 높은 기대감으로 수업에 충실하더라도 학습 스터디 활동이나 상담과 같은 능동적 참여와 자발성, 적극성을 요하는 활동에는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리 사회에서 대학생들이 미래에 대한 밝은 전망을 가지고 열심히 학업을 수행하는 데 있어, 여전히 성별, 출신고교, 성적 등이 유효한 도움 혹은 장애가 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넷째, 대규모 일반대학에 다니는 대학생에 비해 중소규모 전문대학에 다니는 대학생의 정체성 기반 동기 수준이 더 높았으며, 이는 대학 차원에서 학생들이 졸업 후 진로에 대한 모호성과 불확실성을 해소할 수 있도록 진로・취업 지원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classify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 theory of identity-based motivation (IBM), which posits that individuals exhibit higher motivation and goal achievement levels when aligning personal identity with goals. College studen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ree components constituting identity-based motivation: psychological relevance, readiness to act, and interpretation of experienced difficulty.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even factors involving identity-based motivation were identified: expectations for the utility of university education, expectations for the outcomes of university education, proactive learning attitudes, class participation, study group activities, academic counseling, and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education. These factors were used to classify college student types and investigate student factors and university factors influencing this classification.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Engagement and Learning (NASEL) in 2022 by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multilevel latent profile analysis was appli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offer extended discussions and policy implications. First, the identity-based motivation levels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were relatively low, which suggests that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regulate or mitigate the impact of social contexts on academic performance. Second, although Korean college students have high expectations for university education, they are passive in activities that require active participation, voluntariness, and proactiveness, such as study group activities or counseling with faculty. Third, it was evident that factors like gender, high school background, and GPA still play a significant role as help or obstacles for college students to study hard with a bright outlook for the future. Lastly, the level of identity-based motivation of students attending small and medium-sized community colleges was higher than that of students attending large general admission-year universities: This highlights the need for enhanced career and employment support education at the university level to alleviate ambiguity and uncertainty regarding students’ livelihood after graduation.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아. (2024).대학생의 정체성 기반 동기(Identity-Based Motivation) 유형 연구. 교육학연구, 62 (1), 303-326

MLA

김정아. "대학생의 정체성 기반 동기(Identity-Based Motivation) 유형 연구." 교육학연구, 62.1(2024): 303-3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