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에서 주체적 자아(I)의 역할

이용수 47

영문명
The Role of the Subjective Self (I) in the Cross-Cultural Acceptability of Youth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김경년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62권 제1호, 123~15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2.29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성인에 비해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이 더 높은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는 일반적인 사회화의 개념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현상이다. 청소년의 경험 속에 다문화 수용에 대한 독창적인 인식 기제가 있음을 암시한다. 본 연구는 Mead가 제시하는 두 자아 즉 Me(사회적 자아)와 I(주체적 자아)에서 그 기제의 실마리를 찾고 있다. 본 연구는 중학교 2학년에서 고등학교 3학년까지 성장 곡선 모델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다문화 수용의 추세 및 이와 관련된 발달적 요인으로 주체적 자아의 영향을 조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다문화 수용성은 다른 문화적 집단과 이웃-친구-단짝-이성-결혼 등의 사회적 거리를 측정하는 항목을 Guttman 척도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사회적 거리가 중학교 2학년에서 고등학교 3학년까지 비선형 형태로 감소하는 것을 보였다. 주체적 자아는 중학교 2학년 시기에 다문화 수용성 수준을 유의미하게 증가시켰으나, 학년이 증가함에 따라 주체적 자아가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체적 자아가 높은 경우에는 중학교 2학년 시기에 이미 다문화 수용성 상승에 주체적 자아의 기능이 동원되어서 높은 수준의 다문화 수용성에 도달하였기에 그 이후 학년에서 영향력은 감소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이 성인 사회의 낮은 다문화 수용성을 경험하는 환경에서 청소년의 자발성, 주도성, 의지를 일깨우는 주체적 자아의 역할이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Cross-cultural acceptability in youth tends to be higher than that in adults. This is a phenomenon that is difficult to explain within the general concept of socialization. It suggests that there is a unique recognition mechanism for cross-cultural acceptability in the experience of youths. This study searched for clues to the mechanism in the self concept proposed by Mead, namely, Me (the social self) and I (the subjective self). The study applied a growth curve model from the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to the third year of high school to investigate trends in students’ cross-cultural acceptability and the influence of the subjective self as a developmental factor. Cross-cultural acceptability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Guttman scale to items measuring social distances, such as neighbors, friends, close friends, opposite gender friends, and marriage partners. The results show that cross-cultural acceptability increases in a non-linear form from the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to the third year of high school. The subjective self significantly increases the level of cross-cultural acceptability in the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but as the grades increase, the influence of the subjective self on cross-cultural acceptability decreases. In cases where the subjective self is high, the function of the subjective self has already been mobilized to increase cross-cultural acceptability in the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and a high level of cross-cultural acceptability has been reached, resulting in its influence decreasing in subsequent grades. The results are evidence that the role of the subjective self, which awakens youths’ spontaneity, initiative, and willingness, is at work in an environment where youth are experiencing the low cross-cultural acceptability of adult society.

목차

I. 머리말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년. (2024).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에서 주체적 자아(I)의 역할. 교육학연구, 62 (1), 123-154

MLA

김경년.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에서 주체적 자아(I)의 역할." 교육학연구, 62.1(2024): 123-1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