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청소년의 그릿 변화양상과 영향변인 탐색

이용수 43

영문명
Exploring Changes in Youth Grit and Influencing Variables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정혜원 신유진 정세빈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62권 제1호, 95~12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2.29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그릿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고, 그릿에 대한 영향변인의 시간효과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2018) 데이터 중 초4 코호트의 경우 초4(2018년)부터 중2(2022년) 시기까지, 중1 코호트의 경우 중1(2018년)부터 고2(2022년) 시기까지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이 시기의 그릿 변화양상 파악에 적합한 잠재성장모형을 탐색하고, 영향변인이 각 측정시점별 그릿에 미치는 동시효과와 지연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잠재성장모형 중 초4 코호트와 중1 코호트 모두 학교급의 변화를 반영한 분할함수 성장모형이 가장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그릿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소하는 양상이 나타났는데, 초4 코호트와 중1 코호트 모두 학교급의 전환에 따라 그릿의 감소율은 둔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향변인이 그릿에 미치는 동시 및 지연효과를 탐색한 결과, 청소년의 학업열의 및 자아존중감은 초4 코호트와 중1 코호트의 각 시점별 그릿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일부 시점에서 학업열의가 다음 연도의 그릿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연효과가 나타난 반면, 자아존중감은 유의한 지연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청소년이 인식한 부모지지는 초4 코호트의 초4, 초5, 중2 시점과 중1 코호트의 중3 시점에 그릿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효과를 보였으며 일부 시점에서 지연효과가 나타났다. 교사지지는 초4 코호트의 초4, 중1, 중2 시점과 중1 코호트의 중1, 중2, 중3, 고2 시점에서 그릿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효과를 보였으며, 일부 시점에서 그릿에 유의한 긍정적인 지연효과가 나타났다. 친구지지는 유의한 동시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일부 시점에서 그릿에 유의한 부적 지연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grit changes over time in adolescence and to explore the time effects of influencing variables on grit. To do this, the 1st (2018) to 5th wave (2022) data of the 4th- and 7th-grade cohorts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were used for analysis. Latent growth models were explored to determine the most suitable model to figure out changing patterns of grit during this period, and contemporaneous and lagged effects of the influencing variables at each time point were tested as well.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most suitable model among the various latent growth models was the piecewise growth model, which can reflect school transitions. Grit was observed to decline during the time of analysis. Second, it was found that adolescents’ academic enthusiasm and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ntemporaneous effect on grit. It was also observed that at some time points, academic enthusiasm had a lagged effect that positively influenced grit in the following year, while self-esteem did not have a significant lagged effect. The perception of parental support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ntemporaneous effect on grit at some time points, with a significant lagged effect at some time points. The perception of teacher support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ntemporaneous effect on grit at some time points and a significant positive lagged effect on grit at some time points. The perception of friend support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contemporaneous effect,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lagged effects for grit at some point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목차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혜원,신유진,정세빈. (2024).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청소년의 그릿 변화양상과 영향변인 탐색. 교육학연구, 62 (1), 95-122

MLA

정혜원,신유진,정세빈.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청소년의 그릿 변화양상과 영향변인 탐색." 교육학연구, 62.1(2024): 95-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