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발달지연 아동의 학교준비도 향상을 위한 작업치료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사례 연구: 적응기술, 일상생활기술 영역을 중심으로
이용수 86
-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Effects of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on Improving School Readines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Focusing on Adaptation and Daily Living Skills
- 발행기관
-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김은지 곽보경 박혜연
- 간행물 정보
- 『재활치료과학』제13권 제1호, 75~8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8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발달지연 아동을 대상으로 작업치료 프로그램이 학교준비도의 적응기술 영역과 일상생활기술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발달 지연의 만 5세 8개월 남아 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프로그램은 1주일에 2번, 4주 동안 총 8회기 진행되었다.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를 실시하였으며 목표 활동은 수업 준비하기와 화장실 이용하기였다. 사전-사후 검사와 후속 평가를 통하여 대상자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자료 분석은 대상자의 수행을 비디오로 녹화하여 실시하였다.
결과 : COPM의 결과는 수업 준비하기와 화장실 이용하기에서 수행도와 만족도 모두 향상을 보였다. 처리기술은 수업 준비하기에서 7개, 화장실 이용하기에서 8개의 향상을 나타냈다. 작업 수행 관찰결과 수업 준비하기와 화장실 이용하기에서 사후 검사와 후속 평가에서 향상된 결과를 나타냈다.
결론 : 작업치료는 발달지연 아동의 학교준비도 적응기술과 일상생활기술을 향상시키며 학교준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on the school readiness, focusing on adaptation skills and daily life skill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Methods : The study involved a boy with developmental delay, aged 5 years and 8 months. The program was conducted twice a week, with a total of 8 sessions spread over 4 weeks.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 was employed, targeting class preparation and use of the toilet. Pre-post tests and follow-up evaluations were carried out to compare changes. Data analysis involved video recordings of the subject's performance.
Results : The COPM results indicated improvements in both the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levels for class preparation and toilet use. Processing skills showed seven improvements in class preparation and eight improvements in toilet use during post-testing. Activity performance observations further confirmed improvements in both class preparation and toilet use during post-test and follow-up evaluations.
Conclusion : Occupational therapy improves school readiness (adaptation skill, daily living activity skill)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has a positive effect on overall school readines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ssociation of Lifestyle Factors With the Risk of Frailty and Depressive Symptoms: Results From the National Survey of Older Adults
- 발달장애 아동 부모의 인지재활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워드 클라우드 분석과 현상학적 연구 방법 혼합설계
- 국내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일상생활활동 중재 연구 분석: 단일대상연구 설계를 중심으로
- 청소년 작업치료에 관한 작업치료전공 학생들의 인식도 분석: 대한민국과 미국의 비교 연구
- 발달지연 아동의 학교준비도 향상을 위한 작업치료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사례 연구: 적응기술, 일상생활기술 영역을 중심으로
- 활동분석과 전방 연쇄 방법을 이용한 작업치료가 발달장애아동의 일상생활활동 수행 증진에 미치는 효과: 사례연구
- ChatGPT는 한국작업치료사면허시험에 합격할 수 있을까?
-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an ICT-Based Non-Face-to-Face Lifestyle Program to Improve the Mental Health of Older Adults: A Pilot Study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 활용 간호수행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국내 의료기관의 환자안전사고 관련 요인 분석: 2019-2022년 환자안전보고 데이터 활용 이차분석 연구
- 지역사회 인지저하 전·후기 노인의 건강 및 돌봄 요구 실태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