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 작업치료에 관한 작업치료전공 학생들의 인식도 분석: 대한민국과 미국의 비교 연구
이용수 30
- 영문명
- Analysis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Awareness of Adolescent Occupational Therapy: A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 발행기관
-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배수빈 신채림 서효원 이민경 김은택 감경윤
- 간행물 정보
- 『재활치료과학』제13권 제1호, 23~3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8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대한민국과 미국에서 작업치료를 전공하는 학생들의 청소년작업치료에 대한 인식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23년 1월 9일부터 동월 13일까지 대한한국과 미국에서 작업치료를 전공하는학생 각각 55명을 대상으로 청소년 작업치료에 대한 인식도와 관련한 온라인 설문을 시행하였다. 온라인 설문은 국문과 영문으로 작성되어 해당 국가 학생에게 제공되었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와 독립표본t-검정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결과 : ‘청소년 작업치료를 들어본 적 있는가(Q1)’에 대한 문항에 대한민국 학생은 65.5%가 ‘있다’라고답했고, 미국 학생은 58.2%가 ‘없다’라고 답했다. 양국 학생 모두 ‘청소년 삶의 질에서 청소년 작업치료의 중요성(Q10)’라는 문항에는 높은 평균점수를, 반면 ‘청소년 작업치료의 발전 현황(Q11)’에 대한문항에서는 낮은 평균점수를 나타냈다. ‘청소년 작업치료의 향후 발전 가능성(Q12)’에 대해서는 양국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 < .05).
결론 : 양국 학생들은 청소년 작업치료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발전 가능성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awareness of adolescent occupational therapy (AOT) among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O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rough an online survey.
Methods : This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rom January 9 to 13, 2023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bout AOT among 55 students majoring in O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n online survey was formulated in Korean and English.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 independent t-test.
Results : In response to the question “Have you ever heard of AOT?”, 65.5% of Korean students answered yes and 58.2% of the United States students answered no. In both countries, the average score for the question “Can AOT help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eenagers?” was the highest, while the score for “Is AOT sufficiently advanced in your country?” was the lowest. For “Potential for future development of AOT,” the scores for the two countri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 < .05).
Conclusion : Students in both countries acknowledged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AOT, but there were differences noted in terms of prospects of the therapy.
목차
Ⅰ. 서 론
II.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V.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ssociation of Lifestyle Factors With the Risk of Frailty and Depressive Symptoms: Results From the National Survey of Older Adults
- 발달장애 아동 부모의 인지재활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워드 클라우드 분석과 현상학적 연구 방법 혼합설계
- 국내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일상생활활동 중재 연구 분석: 단일대상연구 설계를 중심으로
- 청소년 작업치료에 관한 작업치료전공 학생들의 인식도 분석: 대한민국과 미국의 비교 연구
- 발달지연 아동의 학교준비도 향상을 위한 작업치료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사례 연구: 적응기술, 일상생활기술 영역을 중심으로
- 활동분석과 전방 연쇄 방법을 이용한 작업치료가 발달장애아동의 일상생활활동 수행 증진에 미치는 효과: 사례연구
- ChatGPT는 한국작업치료사면허시험에 합격할 수 있을까?
-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an ICT-Based Non-Face-to-Face Lifestyle Program to Improve the Mental Health of Older Adults: A Pilot Study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 활용 간호수행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국내 의료기관의 환자안전사고 관련 요인 분석: 2019-2022년 환자안전보고 데이터 활용 이차분석 연구
- 지역사회 인지저하 전·후기 노인의 건강 및 돌봄 요구 실태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