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인 직업적응훈련시설의 운영에 관한 질적연구: 퇴직한 직업훈련교사의 경험을 중심으로

이용수 19

영문명
A Qualitative study on the Operation of Vocational Adaptation Training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the Experiences of Retired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발행기관
한국직업재활학회
저자명
최지원 정연수
간행물 정보
『직업재활연구』제33권 제3호, 45~6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직업훈련교사가 퇴직하기까지 경험한 장애인 직업적응훈련시설의 현황과 어려움을 살펴보고 발전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직업훈련교사로 장애인 직업적응훈련시설에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으로서 현재는 퇴사한 직업훈련교사 6명을 선정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3년 2월부터 4월까지이며 반구조화된 1:1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사하고 의미 단위로 분절하여 부호화하였으며, 하위범주와 상위범주를 생성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에게 장애인 직업적응훈련시설은 취업이 어려운 장애인이 교육과 훈련을 통해 취업을 준비하는 곳이었으며, 직업훈련교사로서 자신의 성장을 위한 목표를 가지고 선택한 직장이었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이 장애인 직업적응훈련시설에서 만나게 된 훈련생은 직업훈련보다 돌봄이 필요한 이용인이였으며 이로 인해 연구참여자들은 직업훈련교사 1명당 훈련생 12명이라는 종사자 배치기준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은 직업재활전문인력 부족과 현장여건을 반영하지 못하는 운영체제가 서비스 질의 하락으로 이어진다고 하였으며, 달성할 수 없는 취업실적의 부담감과 직업인으로서의 방향성의 상실 등으로 인해 퇴직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 으로 장애인 직업적응훈련시설은 작업능력이 낮은 장애인들에게 직업훈련을 제공하여 취업을 준비하는 시설의 역할을 하는 곳이지만 실제 이용인들은 장애의 정도가 심하여 취업보다 돌봄이 주를 이루기 때문에 운영기준, 운영체제, 종사자 근무 요건 등이 개선되어야 종사자의 장기 직업 유지가 가능하고 본래의 설립 취지에 적합한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ituation and difficulties experienced by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in facilities before their retirement and to explore development plans. There was a purpose for research. The study participants were people who had experience working as vocational adaptation training teachers and 6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who had currently retired were sele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t the perspective of the trainers, it was a workplace they chose with the goal of their own growth as professionals. Second, the trainees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met at the vocational adaptation training facility for the disabled were trainees who needed care rather than vocational training. Third, research participants complained of the burden of the user placement standard of 12 trainees per vocational training teacher and the difficulties of the reality of a shortag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pecialists. Fourth, operating standards that did not reflect on-site conditions, arduous work, and the resulting loss of direction as professionals appeared to be the process by which research participants retired. In conclusion, the current vocational adaptation training facility for the disabled serves as an institution that prepares employment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for disabled people who had difficulty finding employment, but the actual users were so severely disabled that their focus was on care rather than employment. It appeared that only when the operating standards, operating system, and employee work requirements were improved will employees be able to maintain their jobs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operation suitable for the original purpose of operation will be possibl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지원,정연수. (2023).장애인 직업적응훈련시설의 운영에 관한 질적연구: 퇴직한 직업훈련교사의 경험을 중심으로. 직업재활연구, 33 (3), 45-66

MLA

최지원,정연수. "장애인 직업적응훈련시설의 운영에 관한 질적연구: 퇴직한 직업훈련교사의 경험을 중심으로." 직업재활연구, 33.3(2023): 45-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