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치부 최대 견인 시 기존 브라켓과 자가결찰 브라켓에 의한 상악 절치의 3차원적 토오크와 연조직 및 경조직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0

영문명
Effects of maximum retraction of anterior teeth on third-order torque of maxillary incisors and soft and hard tissue changes by conventional and self-ligating brackets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두개안면기형연구소
저자명
Young-Eun Oh Ha-Na Sha Chung-Ju Hwang Yoon-Jeong Choi Jung-Yul Cha
간행물 정보
『연세임상교정』제30권 제2호, 142~153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Conventional 브라켓과 자가 결찰 브라켓을 사용할 때 전치부 치아 이동 양상을 비교하며 이에 따른 경조직과 연조직의 변화에 대한 특성을 비교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상악 제1소구치만을 발치하거나 하악 소구치와 함께 발치하여 후방 견인한 lip protrusion 환자 7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 전 및 치료 후 측모 두부규격방사선 사진을 분석했다. Active clip metal (ACM), ceramic (ACC), passive clip (PCM) 또는 conventional metal (CM) 그룹으로 나누었다. 네 개 그룹 간의 골격, 치아 및 연조직 변수를 비교하고, ΔU 1to SN (o)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조사했다. 결과: 치료 후 상악 전치 tip (U1t)은 ACM, ACC, PCM, CM군에서 각각 6.63 mm, 6.95 mm, 6.00 mm, 6.55 mm 견인되었다(P>0.05). U1 to SN (o)의 변화는 ACM, ACC, PCM, CM군에서 각각 10.5o, 11.1o, 12.7o, 12.0o였다(모두 P>0.05). Li를 제외한 연조직의 수평적 변화는 네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ΔU1 to SN (o)는 U1t 견인량(mm)하고만 유의한 양의 선형성이 있었다(P<0.01). 결론: 자가 결찰 브라켓에 사용된 clip의 형태는 상악 전치부 최대 견인 시 전치부의 각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최종 치아의 각도는 사용된 브라켓의 종류보다는 전치부의 견인량에 영향을 받는다. 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 We compared the patterns of anterior tooth move-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hard and soft tissue changes when using conventional versus self-ligating bracket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ed 78 patients with lip protrusion, who underwent retraction by extraction of the maxillary first premolars alone or along with mandibular pre-molars. Pre- and post-treatment lateral cephalograms were analyzed;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active clip metal (ACM) or ceramic (ACC), or passive clip (PCM) or conventional metal (CM) groups. We compared skeletal, dental, and soft tissue vari-ables among the 4 groups and identified variables affecting ΔU1 to SN (o). Results: The incisal tip (U1t) of the maxillary anterior teeth post-treatment had retracted by 6.63 mm, 6.95 mm, 6.00 mm, and 6.55 mm in the ACM, ACC, PCM, and CM groups, respective-ly (P>0.05). Changes in U1 to SN (o) were 10.5o, 11.1o, 12.7o, and 12.0o in the ACM, ACC, PCM, and CM groups, respectively (all P>0.05). Horizontal changes in soft tissues, except Li,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the 4 groups (P>0.05). ΔU1 to SN (o) showed significant positive linearity only with the amount of traction of U1t (mm) (P<0.01). Conclusions: The types of clips used in self-ligating brackets did not affect anterior tooth inclination after maximum retrac-tion of the maxillary anterior teeth. Final tooth inclination was affected more by the amount of retraction in the anterior teeth than by the type of brackets used.

목차

서론
대상 및 방법
결과
논의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Young-Eun Oh,Ha-Na Sha,Chung-Ju Hwang,Yoon-Jeong Choi,Jung-Yul Cha . (2023).전치부 최대 견인 시 기존 브라켓과 자가결찰 브라켓에 의한 상악 절치의 3차원적 토오크와 연조직 및 경조직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세임상교정, 30 (2), 142-153

MLA

Young-Eun Oh,Ha-Na Sha,Chung-Ju Hwang,Yoon-Jeong Choi,Jung-Yul Cha . "전치부 최대 견인 시 기존 브라켓과 자가결찰 브라켓에 의한 상악 절치의 3차원적 토오크와 연조직 및 경조직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세임상교정, 30.2(2023): 142-1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