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하악 3전치를 동반한 골격성 I급 부정교합의 교정치료 치험례

이용수 9

영문명
Orthodontic treatment of skeletal Class I malocclusion with three lower incisors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두개안면기형연구소
저자명
Eunyoung Son HyeKyung Kang Bumsoo Kim
간행물 정보
『연세임상교정』제30권 제2호, 89~99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하악 전치부 결손은 상·하악 제2소구치, 상악 측절치 결손과 더불어 임상에서 흔하게 접할 수 있다. 하악 3전치는 상·하악간 치아 크기 부조화, 정중선 불일치, 불안정한 교합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치료로는 하악 3전치만으로 크기 조화를 이루도록 하는 방법이나 결손부 공간을 형성하여 보철치료를 동반하는 방법, 반대쪽 하악 전치나 소구치 발거를 통하여 공간을 폐쇄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 중 반대측 소구치 발거를 통하여 양호한 치료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소개하고자 한다. 본 증례의 17세 여환은 앞니가 돌출되어 있다는 주소로 내원하였다. 임상 및 방사선 검사 결과 하악 우측 측절치의 결손 및 상악 전치의 돌출, 깊은 스피만곡으로 인한 큰 수평 및 수직피개를 보이는 골격성 I급 부정교합을 보였으며 순측 경사된 상악 전치로 인한 reverse smile arc, 양측 I급 구치관계가 관찰되었다. 상악 전치부의 전돌과 하악 치열 정중선의 우측 편위를 개선시키기 위하여 상악 양측 제1소구치와 하악 좌측 제1소구치를 발치하였다. 상악 정중 구개부 1개의 miniscrew와 하악 좌측 제2소구치와 좌측 제1대구치 사이에 miniscrew를 식립하여 구치부 고정원 보강 및 전방 분절의 후방 견인을 시행하였다. 치아 크기 부조화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하악 우측 견치의 치아 형태 회복을 함께 시행하였다. 하악 3전치에 대한 치료 고려사항으로 결손부 공간을 형성하는 것은 공간 없이 깊은 스피만곡을 가지는 환자에게 적절하지 않았고 하악 3전치만으로 크기 부조화를 해결하는 방법 또한 구치 관계의 악화나 적절한 수평피개를 형성할 수 없어 적절하지 않았다. 하악 치열의 후방이동을 고려해보았을 때, CBCT를 이용한 분석 결과 우측 2.6 mm, 좌측 3.8 mm의 좁은 공간을 가지므로 후방이동시키기에 공간이 부족하였다. 하악 전치의 발치는 손쉽게 공간을 확보하고 정중선 일치를 달성할 수 있으나 하악 전치 발치 후 Sum of incisors를 맞추기 위하여 과도한 stripping이 필요하였으므로 하악 소구치의 발치를 계획하였다. 하악 소구치 발치로 하악 우측 견치의 측절치화도 동반하였다. 치료 결과 상악 전치부 돌출의 개선과 함께 치열 정중선 편위의 개선, 적절한 수직·수평피개 및 교합관계를 얻을 수 있었다.

영문 초록

Missing of the mandibular anterior teeth is a common clin-ical finding, along with hypodontia of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s and maxillary and mandibular second premolars. Man-dibular anterior tooth loss can cause problems, such as tooth size discrepancies between the maxilla and mandible, midline discrepancies, and unstable occlusion. Commonly considered treatment options include achieving a proportional size with only three lower incisors, regaining space for prosthetic treatment, or closing the space by extract-ing the contralateral mandibular incisor or premolar. In this patient, favorable treatment outcomes were achieved by ex-tracting the contralateral mandibular first premolar. This case report is about a 17-year-old female patient who presented with a complaint of protrusion of maxillary ante-rior teeth. Clinical and radiological examinations revealed a skeletal Class I malocclusion with a missing mandibular right lateral incisor, protruding maxillary anterior teeth, and a large overjet and overbite due to a deep curve of Spee. A reverse smile arc with protruding anterior teeth and bilateral Class I molar relationship was observed. To correct the proclination of maxillary anterior teeth and right deviation of the mandibular dental midline, extraction of the maxillary first premolars on both sides and left mandibular first premolar was performed. A miniscrew was placed in the midpalatal area of the maxilla and between the left mandibular second premolar and first molar to reinforce anchorage and provide posterior retraction of the anterior teeth. To minimize the tooth size discrepancy, reshap-ing of the right mandibular canine was also performed. Regaining space as a treatment for the three lower incisors is inappropriate for patients with a deep curve of Spee, without space. Resolving the size incongruity with only the three lower incisors was not appropriate, as it could worsen the molar re-lationship or prevent the formation of an appropriate overjet. The CBCT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a narrow space of 2.6 mm on the right side and 3.8 mm on the left side for posterior movement of the mandibular dentition, indicating that there was insufficient space for such movement. Extraction of the mandibular incisors is an easy way to gain space and achieve midline correction, however, excessive stripping is required to achieve the sum of incisors after mandibular incisor extraction. Therefore, a mandibular premolar extraction was performed. Extraction of the mandibular premolars was accompanied by conversion of the mandibular right canine into a lateral incisor. As a result, improvements in the proclination of the maxillary teeth, correction of the dental midline deviation, and establish-ment of an appropriate overjet and overbite were achieved.

목차

서론
증례
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Eunyoung Son,HyeKyung Kang,Bumsoo Kim. (2023).하악 3전치를 동반한 골격성 I급 부정교합의 교정치료 치험례. 연세임상교정, 30 (2), 89-99

MLA

Eunyoung Son,HyeKyung Kang,Bumsoo Kim. "하악 3전치를 동반한 골격성 I급 부정교합의 교정치료 치험례." 연세임상교정, 30.2(2023): 89-9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