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갯벌머드 해양치유자원의 특성 및 기준에 관한 연구
이용수 53
- 영문명
- Characteristics and Standards of Domestic Tidal Flat Mud Marine Healing Resources
- 발행기관
- 한국습지학회
- 저자명
- 박선영 강정원 정용기 조연제
- 간행물 정보
- 『한국습지학회지』제25권 제4호, 386~393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들어서 국내의 해양치유산업 활성화를 위한 해양치유자원의 효능․효과에 관한 연구개발이 진행 중에 있다. 본연구는 해양치유자원으로서 잘 알려진 머드 물질에 대한 효능성분 분석을 통해 활용․관리 기준을 제시하였다. 머드물질 시료는 국내 갯벌에서 채취되었으며, 모래질, 실트질 및 점토질 함량은 각각 평균 7.87%, 74.95% 및 17.17%로 머드(실트+점토)의 평균 함량이 90% 이상이었다. 효능성분은 SiO2(68.4%)성분이 가장 높으며, 다음으로 Al2O3(13.3%)>Fe2O3(4.0%)>K2O(2.9%)>Na2O(2.3%)>MgO(1.6%)>CaO(1.0%)>TiO2(0.7%) 순으로 평균함량이 높았다. 효능성분 분석을 바탕으로 기능성을 나타내는 성분(기능 성분)을 Si, Al, Fe, K, Na, Mg, Ca를 선정하였으며, 또한 품질관리를 목적으로 정하는 성분(지표 성분)은 효능을 가진 성분 중 함량이 높은 K, Mg, Ca로 결정하였다.
결과적으로 기존 문헌을 참고하여 국내 갯벌머드자원이 해양치유자원으로서 활용․관리되기 위해서는 원재료의 머드함량이 70.0% 이상 그리고 지표 성분인 K2O+MgO+CaO의 합이 5.0% 이상을 기준으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domestic marine healing industry is undergoing significant revitalization efforts, with a focus on understanding the efficacy and effectiveness of marine healing resources. This study establishes utilization and management standards through a detailed analysis of the active components within well-recognized marine healing mud materials. Samples of mud materials were collected from domestic tidal flats. These samples exhibited an average composition of 7.87% sand, 74.95% silt, and 17.17% clay, with a combined mud content (silt+clay) consistently exceeding 90%. Notably, SiO2 emerged as the most prevalent effective ingredient at 68.4%, followed by Al2O3 (13.3%)>Fe2O3 (4.0%)>K2O (2.9%)>Na2O (2.3%)>MgO (1.6%)>CaO (1.0%)>TiO2 (0.7%), in terms of average content. Subsequently, through an analysis of effective ingredients, Si, Al, Fe, K, Na, Mg, and Ca were identified as elements demonstrating significant functionality. Among these, key indicator ingredients were selected for quality control, all of which were found to possess efficacious properties. Notably, K, Mg, and Ca exhibited particularly high concentra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and referencing existing literature, it is recommended that domestic tidal flat mud resources earmarked for utilization as marine healing resources should possess a raw material mud content of no less than 70.0%. Moreover, the cumulative index components K2O+MgO+CaO should meet or exceed a threshold of 5.0% for optimal effectiveness.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3. 결과 및 토의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 생태계 유형별 탄소 저장 및 거동 산정 연구 현황 분석
- 국내 IUCN Red List of Ecosystem(생태계 적색목록) 평가를 위한 국제 사례 연구와 전략 제시
- 우리나라에서는 왜 생태복원이 국제사회와 다르게 진행될까?
- 국내 갯벌머드 해양치유자원의 특성 및 기준에 관한 연구
- 하천 홍수위 저감을 위한 자연기반해법의 적용효과 분석
- 아동을 위한 자연 친화적 공공공간 확보의 중요성 고찰: 독일의 자연체험공간 사업을 중심으로
- Comprehensive Review on the Implications of Extreme Weather Characteristics to Stormwater Nature-based Solutions
- PSR과 DPSIR을 이용한 대한민국 대설 취약성 분석
- 기후변화에 따른 남색이마잠자리 잠재적 서식지 및 미래 분포예측
- 낙동강유역 지류에서의 장기 수질모니터링 자료를 이용한 관리 대상물질 분석 연구
- 하천습지의 수문생태적 특성 분석 -금강 왕진지구를 사례로-
- 기계학습 분류모델을 이용한 하천퇴적물의 중금속 오염원 식별
- HSPF와 다중 저류지 모형을 이용한 농업지역 순환관개에 의한 하천 수질 및 배출부하 영향 분석
- 마이크로버블 장치를 이용한 철강산업의 산회수설비 발생 염화수소 가스 처리
- 수처리공정의 디지털 트윈 요소기술과 추진 전략
- Investigation on the water quality challenges and benefits of buffer zone application to Yongdam reservoir, Republic of Korea
- 딥러닝 기반 조류 탐지 모형의 입력 이미지 자료 특성에 따른 성능 변화 분석
- 양서류 정자 동결보존 기술 개발의 중요성 및 적용
- 환경 측면의 고려가 절실하게 요구되는 ESG 경영
- 관행 논과 유기 재배 논의 토양 종자은행과 토양 특성 비교
- 국내 기초자치단체 하수도 원인자부담금 현황 및 특성 분석 연구
- 팔당호와 팔당호 상류의 난분해성 유기물질 유출 특성 분석 및 상관성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Evidence for Detecting K/Pg Boundary in Bade Section, Dohuk Area, Northern Iraq
- Application of High-Resolution Gravity and Magnetic Data for Fe-Mn-Pb Mineralization Prospecting in Jbel Skindis, Eastern High Atlas, Morocco
- 서부 경기지괴 태안지역의 구조 기하학적 형태 해석 연구: 고원생대 서산층군의 분포 양상으로부터의 이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