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낙동강유역 지류에서의 장기 수질모니터링 자료를 이용한 관리 대상물질 분석 연구
이용수 9
- 영문명
- Analysis study on substances subject to management using long-term water quality monitoring data in tributaries of the Nakdong River basin
- 발행기관
- 한국습지학회
- 저자명
- 갈병석 박재범 김성민 신상민 장순자 전민재 이동현
- 간행물 정보
- 『한국습지학회지』제25권 제4호, 326~334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낙동강수계 지류에서의 장기 수질모니터링 자료를 이용하여 수질의 목표수질 초과율, 증가 추세를 검토하여 지류에서 문제 되는 물질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낙동강수계에서는 중점 관리가 필요한 38개 지류에 대하여 월 1회 모니터링이 수행되고 있으며 이 자료를 이용하여 지점별 목표수질 초과 및 증가 경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항목은 하천 수질 기준으로 평가가 가능한 DO, BOD, COD, TOC, SS, 총인, 분원성 대장균군, 총대장균군 8개 항목이다. 분석 결과, 목표수질 초과율이 50% 이상이며 증가추세인 항목은 TOC, 분원성 대장균과 총대장균수로 나타났으며 초과율이 50% 이하이나 증가 경향을 가진 항목은 SS로 나타났다. TOC는 난분해성 물질의 증가로 인한 원인으로 판단되며 대장균의 지속적인 증가는 향후 하수처리시설에서의 방류수질 중 대장균의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long-term water quality monitoring data from tributaries of the Nakdong River system to identify problematic substances in tributaries by examining the rate of exceedance and increase in water quality targets. In the Nakdong River system, monitoring is conducted once a month for 38 tributaries that require intensive management, and this data was used to analyze trends in exceeding and increasing target water quality at each point. The analysis items are eight items that can be evaluated based on river water quality standards: DO, BOD, COD, TOC, SS, total phosphorus, fecal coliform, and total colifor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arget water quality exceedance rate was more than 50%, and the items with an increasing trend were TOC, fecal coliform and total E. coli counts, and the items with an exceedance rate of less than 50% but an increasing trend were SS. TOC is believed to be caused by an increase in non-degradable substances, and the continued increase in Total Coliform will require management of Total ColiformTotal Coliform in effluent water from sewage treatment facilities in the future.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 생태계 유형별 탄소 저장 및 거동 산정 연구 현황 분석
- 국내 IUCN Red List of Ecosystem(생태계 적색목록) 평가를 위한 국제 사례 연구와 전략 제시
- 우리나라에서는 왜 생태복원이 국제사회와 다르게 진행될까?
- 국내 갯벌머드 해양치유자원의 특성 및 기준에 관한 연구
- 하천 홍수위 저감을 위한 자연기반해법의 적용효과 분석
- 아동을 위한 자연 친화적 공공공간 확보의 중요성 고찰: 독일의 자연체험공간 사업을 중심으로
- Comprehensive Review on the Implications of Extreme Weather Characteristics to Stormwater Nature-based Solutions
- PSR과 DPSIR을 이용한 대한민국 대설 취약성 분석
- 기후변화에 따른 남색이마잠자리 잠재적 서식지 및 미래 분포예측
- 낙동강유역 지류에서의 장기 수질모니터링 자료를 이용한 관리 대상물질 분석 연구
- 하천습지의 수문생태적 특성 분석 -금강 왕진지구를 사례로-
- 기계학습 분류모델을 이용한 하천퇴적물의 중금속 오염원 식별
- HSPF와 다중 저류지 모형을 이용한 농업지역 순환관개에 의한 하천 수질 및 배출부하 영향 분석
- 마이크로버블 장치를 이용한 철강산업의 산회수설비 발생 염화수소 가스 처리
- 수처리공정의 디지털 트윈 요소기술과 추진 전략
- Investigation on the water quality challenges and benefits of buffer zone application to Yongdam reservoir, Republic of Korea
- 딥러닝 기반 조류 탐지 모형의 입력 이미지 자료 특성에 따른 성능 변화 분석
- 양서류 정자 동결보존 기술 개발의 중요성 및 적용
- 환경 측면의 고려가 절실하게 요구되는 ESG 경영
- 관행 논과 유기 재배 논의 토양 종자은행과 토양 특성 비교
- 국내 기초자치단체 하수도 원인자부담금 현황 및 특성 분석 연구
- 팔당호와 팔당호 상류의 난분해성 유기물질 유출 특성 분석 및 상관성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Evidence for Detecting K/Pg Boundary in Bade Section, Dohuk Area, Northern Iraq
- Application of High-Resolution Gravity and Magnetic Data for Fe-Mn-Pb Mineralization Prospecting in Jbel Skindis, Eastern High Atlas, Morocco
- 서부 경기지괴 태안지역의 구조 기하학적 형태 해석 연구: 고원생대 서산층군의 분포 양상으로부터의 이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