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하천습지의 수문생태적 특성 분석 -금강 왕진지구를 사례로-
이용수 11
- 영문명
- An Analysis of Hydr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River Wetlands -Case Study of Wangjin District in Geumgang River-
- 발행기관
- 한국습지학회
- 저자명
- 홍승원 박미옥 구본학
- 간행물 정보
- 『한국습지학회지』제25권 제4호, 315~32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하천습지의 교란 과정을 근현대 지도와 항공사진을 근거로 분석하고, 왕진지구 주변 수문생태 영향권의 토지피복과 NDVI 변화를 분석하였다. 왕진나루에는 안정된 모래톱이 형성되어 제내지 농경지와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있었으나 대홍수와 제방축조, 경지정리 및 하천종합관리로 모래톱과 하천습지가 소멸된 이후 인위적인 대체습지와 생태공원이 조성되고 하중도 형태의 모래톱이 다시 생성되었다. 수문생태영향권 토지피복 변화는 농업지역의 논· 밭이 2013년 36.3%에서 2022년 22.9%로 감소하였는데 면적으로는 814,476㎡로 가장 많은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토지피복유형은 초지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식생지수 변화를 계절별 변화를 종합해보면 전반적으로 식생지수의 변화량은 봄철(3월)이 가장 크고, 그다음은 여름철(6월)이며 수역을 제외하고는 가을철(9월)의 변화의 폭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토지이용별로는 대체습지에서 39.1% 향상, 하중도 38.2% 향상, 생태공원 44.3% 향상, 농업지역 35.6% 향상, 수역 –8.1% 감소 등 전반적으로 식생지수(NDVI)가 증가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disturbance process of river wetlands based on modern and contemporary maps and aerial photographs, and analyzed land cover and NDVI changes in the hydro-ecological impact zone around the Wangjin District. A stable sandbar was formed near Wangjinnaru and was naturally connected to the agricultural land within inland, but after the sandbar and river wetland were destroyed due to heavy floods, embankment construction, land readjustment, and comprehensive river management, artificial replaced wetlands and ecological parks were created, and sandbars in the form of river island were restored again. The change in land cover in the hydro-ecological impact zone showed that rice paddies and fields in agricultural areas decreased from 36.3% in 2013 to 22.9% in 2022, with the largest change in area to 814,476㎡. It was confirmed that the land cover was undergoing vegetation over time. Since the vegetation condition is good, a healthy food chain is formed in the waterfront ecosystem, which can be expected to be biodiversity-positive. Summarizing seasonal changes in the vegetation index, the overall change in the vegetation index was the largest in spring (March), followed by summer (June), and the change in autumn (September) was the smallest except for water. By land use, the overall vegetation index (NDVI) increased, including 39.1% improvement in alternative wetlands, 38.2% improvement in load, 44.3% improvement in ecological parks, 35.6% improvement in agricultural areas, and –8.1% decrease in water.
목차
1. 서 론
2. 연구 범위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 생태계 유형별 탄소 저장 및 거동 산정 연구 현황 분석
- 국내 IUCN Red List of Ecosystem(생태계 적색목록) 평가를 위한 국제 사례 연구와 전략 제시
- 우리나라에서는 왜 생태복원이 국제사회와 다르게 진행될까?
- 국내 갯벌머드 해양치유자원의 특성 및 기준에 관한 연구
- 하천 홍수위 저감을 위한 자연기반해법의 적용효과 분석
- 아동을 위한 자연 친화적 공공공간 확보의 중요성 고찰: 독일의 자연체험공간 사업을 중심으로
- Comprehensive Review on the Implications of Extreme Weather Characteristics to Stormwater Nature-based Solutions
- PSR과 DPSIR을 이용한 대한민국 대설 취약성 분석
- 기후변화에 따른 남색이마잠자리 잠재적 서식지 및 미래 분포예측
- 낙동강유역 지류에서의 장기 수질모니터링 자료를 이용한 관리 대상물질 분석 연구
- 하천습지의 수문생태적 특성 분석 -금강 왕진지구를 사례로-
- 기계학습 분류모델을 이용한 하천퇴적물의 중금속 오염원 식별
- HSPF와 다중 저류지 모형을 이용한 농업지역 순환관개에 의한 하천 수질 및 배출부하 영향 분석
- 마이크로버블 장치를 이용한 철강산업의 산회수설비 발생 염화수소 가스 처리
- 수처리공정의 디지털 트윈 요소기술과 추진 전략
- Investigation on the water quality challenges and benefits of buffer zone application to Yongdam reservoir, Republic of Korea
- 딥러닝 기반 조류 탐지 모형의 입력 이미지 자료 특성에 따른 성능 변화 분석
- 양서류 정자 동결보존 기술 개발의 중요성 및 적용
- 환경 측면의 고려가 절실하게 요구되는 ESG 경영
- 관행 논과 유기 재배 논의 토양 종자은행과 토양 특성 비교
- 국내 기초자치단체 하수도 원인자부담금 현황 및 특성 분석 연구
- 팔당호와 팔당호 상류의 난분해성 유기물질 유출 특성 분석 및 상관성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Evidence for Detecting K/Pg Boundary in Bade Section, Dohuk Area, Northern Iraq
- Application of High-Resolution Gravity and Magnetic Data for Fe-Mn-Pb Mineralization Prospecting in Jbel Skindis, Eastern High Atlas, Morocco
- 서부 경기지괴 태안지역의 구조 기하학적 형태 해석 연구: 고원생대 서산층군의 분포 양상으로부터의 이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