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인의 신체활동과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사이의 인지기능의 매개효과
이용수 25
- 영문명
-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unc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Older Adults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진연주 홍익표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31권 제1호, 61~7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신체활동 참여와 도구적 일상생활활동(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자립도 사이의 인지기능의 매개효과를 조사하였다. 연구방법 :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노인코호트 데이터베이스 자료를 활용하여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자격을 유지하고 있는 만 60세 이상의 노인 약 600만 명 중 신체활동 설문에 참여한 3,980명의 자료를 활용하 였다. 신체활동과 IADL 사이의 인지기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노인의 평균 연령은 81.6세였으며, 여성이 72.74%였다. 인지기능의 부분매개 효과는 고강도 운동에서 68%로 IADL의 자립도에 가장 크게 나타났다(β = 0.07, 95% Confidence Interval; CI = 0.05, 0.09). 다음으로 중등도 운동은 66%(β = 0.08, 95% CI = 0.06, 0.10), 걷기 운동은 52%(β = 0.12, 95% CI = 0.11, 0.14) 순으로 나타났다. 신체활동과 IADL 자립도 사이의 직접효과는 걷기 운동에서 48%(β = 0.11, 95% CI = 0.09, 0.14)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중등도 운동은 35%(β = 0.04, 95% CI = 0.02, 0.07), 고강도 운동은 32%(β = 0.03, 95% CI = 0.01, 0.06)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신체활동과 IADL의 관계에 인지기능의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노인 의 건강하고 활동적인 노화를 위해 신체활동과 인지기능을 결합한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고려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un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and independence of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Methods: A retrospective cross-sectional design that analyzed the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ies and IADL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function. We retrieved 3,980 beneficiaries from the 6 million people eligible for the Korean health insurance and benefits, between 2002 and 2015. The study subjects were 60 years and older and have completed the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We estimated the indirect effect of physical activity through cognitive function on the independence of IADL. Results: The average age of the beneficiaries was 81.6 years (SD = 5.5), and 72.74% were female. Among the three physical activities, the vigorous-intensity exercise showed the largest partial mediation effect of cognitive function on the independence of IADL (β = 0.07, 95% confidence interval; CI: 0.05, 0.09). However, the walking exercise showed the largest direct effect on the independence of IADL (β = 0.11, 95% CI: 0.09, 0.14). Conclusion: The study indicated that there was a considerabl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un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ies and IADL. The study findings would help clinicians establish a complex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that utilizes both physical and cognitive therapeutic modalities for old adul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작업치료의 연구동향: 대한작업치료학회지를 중심으로(2016-2020년)
- 노인의 역할 수행 작업치료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 노인의 신체활동과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사이의 인지기능의 매개효과
- 무릎관절 치환술 환자를 위한 작업치료 임상 가이드라인 개발
- 신체기능 장애인의 장애수용, 자아존중감, 우울, 인권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K-EAT-10으로 확인한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연하장애 유병률 및 특성
- 연세 라이프스타일 프로파일(Yonsei Lifestyle Profile; YLP)을 활용한 라이프스타일 지표 개발 및 비교 분석
- 노인의 가상현실 기반 주방 과제 수행 시 관찰되는 수행오류 종류에 따른 작업기억 및 집행기능과의 상관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Effect of herbal medicine in male factor infertility (Oligoasthenoteratozoospermia) - A case report
- Exploring the Language Education Enjoyment Scale and Its Impact on Learner Engagement
- Bangpungtongsung-san reduces the expression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2 by blocking activating protein-1 activity in stimulated human mast cell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