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 노인의 작업 유형별 시간 사용 분석 및 만족도

이용수 2

영문명
Analysis and Satisfaction of Time Usage by Occupational Type for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발행기관
대한작업치료학회
저자명
박아름 김수경
간행물 정보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8권 제2호, 69~82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통계청의 ‘2014년 생활시간조사’원 자료를 활용하여 장애 노인의 시간 사용을 분석하고, 작업 영역별 시간 사용량을 사용하여 작업 유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원 자료를 사용하여 65세 이상 노인을 추출하였으며, 그 중 돌봄이 필요한 장애 노인 57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영역으로는 수면활동, 일상활동, 노동활동, 여가활동으로 재분류하여 분석하였으며, 영역별 시간 사용량을 기준으로 일상생활 유형, 여가과다 유형, 노동과다 유형, 작업균형 유형으로 분류 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유형에 따른 시간 사용 부족감 및 만족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 작업 유형별 분석 한 결과 여가과다 유형 33.62%, 일상활동 유형 31.71%, 노동과다 유형 21.78%, 작업균형 유형 12.89% 이었으며, 모든 작업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작업 유형 예측 요인을 분석 한 결과 작업균형 유형보다 일상생활 유형이 될 가능성은 60대와 70대보다 90대의 치매를 가진 남성이 높다고 예측되었으며, 여가과다 유형이 될 가능성은 치매와 뇌졸중을 가진 남성이 될 가능 성이 높다고 예측되었다. 결론 : 장애 노인의 시간 사용 분석과 만족도를 분석하여 삶의 질과 건강 증진을 위한 중재 활동을 제공하 는데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the time use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by utilizing lifetime survey data in 2014 and to present the occupational type by using the time usage based on occupational area. Methods: The raw data from Statistics Korea’s “2014 Time of Life Survey” were used to extract senior citizens aged 65 or older, and the data on 574 disabled senior citizens who needed to be cared for were analyzed. The areas were analyzed by reclassifying them into sleep activities, daily activities, labor activities, and leisure activities, and by classifying them into daily activity types, excessive leisure types, excessive work types, and occupational balance types based on time usage by area. In addition, the deficiency of time use and satisfaction level were analyzed depending on the type. Results: Analysis by occupational type shows that 33.62% are of excessive leisure type. The types of daily activities made up 31.71%, the types of excessive work made up 21.78%, and the types of occupational balance made up 12.89%,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areas. An analysis of the predicting factors of occupational types showed that men in their 90s were more likely to among the daily activities type than those in their 60s and 70s, and that the possibility of being among an excessive leisure type is more likely to be found in men having dementia or post-stroke. Conclusion: Analyzing the time use and satisfaction level of disabled senior citizens, this study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providing intervention activities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and healt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아름,김수경. (2020).장애 노인의 작업 유형별 시간 사용 분석 및 만족도.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8 (2), 69-82

MLA

박아름,김수경. "장애 노인의 작업 유형별 시간 사용 분석 및 만족도."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8.2(2020): 69-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