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직업재활을 위한 직무기능 강화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인의 직무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

영문명
Effect of Job Function Empowerment Program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on Job Competency of Those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발행기관
대한작업치료학회
저자명
황민지 방요순 손보영 오은주
간행물 정보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5권 제4호, 45~60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본 연구는 직업재활을 위한 직무기능 강화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지적장애인의 손 기능, 인지기능, 사회적 기술, 직무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 손 기능, 인지기능, 사회적 기술이 직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진 실험 설계(true experimental design)의 전후-검사 통제 집단 설계(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를 적용하였다. 중재는 주 3회 50분씩, 12주를 실시하였다. 중재 전과 후의 비교를 위해 손 기능은 핀치 게이지(pinch gauge)와 퍼듀페그보드(Purdue pegboard)를, 인지기능은 로웬스타인 작업치료 인지평가(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LOTCA)를, 사회성 기술 평정 척도(Social Skills Rating Scale; SSRS)를, 직무능력은 직업인성 프로파일(work personality profile)을 사용하였다. 결과:직업재활을 위한 직무기능 강화 프로그램은 실험군의 손 기능, 인지기능, 사회적 기술, 직무능력을 향상시켰고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지적장애인의 직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인지기능과 사회적 기술이었다. 결론:본 연구는 지적장애인의 직무기능을 효과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는 직업재활프로그램으로서의 가치 및 효용성을 확인하였기에 취업이나 구직을 원하는 지적장애인의 직무기능을 강화시키는 중재 프로그램으로 제안하는 바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unctional empowerment program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on the hand function, cognitive function, social skills, and job competency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hand function, cognitive function, and social skills on job competency. Methods: A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of the true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and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for 50 min, 3 times a week, for a total of 12 weeks. For comparison of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 pinch gauge and purdue pegboard were used for hand function, a 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was used for the cognitive function, and a work personality profile was used for job competency.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s hand function, cognitive function, social skill, and job competency were improved,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job competency were the cognitive function and social skills.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gram has value and usefulness as a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to effectively strengthen the functional capabilities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e use of a program for the functional empowerment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of those who want to find a job.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민지,방요순,손보영,오은주. (2017).직업재활을 위한 직무기능 강화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인의 직무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5 (4), 45-60

MLA

황민지,방요순,손보영,오은주. "직업재활을 위한 직무기능 강화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인의 직무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5.4(2017): 45-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