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모의 보고에 의한 강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신체적 기능수준에 따른 삶의 질 비교
이용수 5
- 영문명
- Comparison of Parent-reported Quality of Life Associated With Functional Levels in School-age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조성미 오덕원 김선엽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17권 제1호, 29~37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3.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학령기 뇌성마비 아동의 기능 수준이 부모가 보고하는 뇌성마비 아동의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연구방법 : 본 연구는 학령기(8~18세) 뇌성마비 환자들 중 강직성 양하지 마비 형태를 보이는 29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삶의 질 평가는 부모에 의해 이루어졌다. 대상자들은 기능 수준에 따라 세 집단(계단 보행 가능 집단, 일반 보행 가능 집단, 그리고 보행 불가능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삶의 질 평가는 한국어판 KIDSCREEN 52-HRQOL을 사용하여 시행되었다. 결과 : 기능 수준에 따라 삶의 질 영역들 중 ‘신체활동과 건강’, ‘심리적 건강’, 그리고 ‘자유시간’ 영역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5), 이외의 영역들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높은 기능 수준을 보인 집단에서 전체 삶의 질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기능 수준이 뇌성마비 아동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신체 기능과의 관계가 삶의 질 평가 영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전체적인 것으로 이해하기에는 다소 부족한 면이 있다. 향후 이에 대한 더 많은 연구들이 이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is study aims at determining how parent-reported quality of life (QOL) is associated with the functional levels of school-aged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Methods : Our cross-sectional survey involved 29 subjects with spastic diplegia who ranged in age from 8 to 15 years. The functional levels of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 stair-climbing group, independent-walking group, and limited-movement group. Each child’s QOL was assessed through parent reports using the Korean version of KIDSCREEN 52-HRQOL, and the data were analyzed separately for each of the 10 domains. Results : The total QOL scor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stair-climbing group compared to those of the limited-movement group (p<.05). The assessment scores for ‘physical well-be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utonomy’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stair-climbing group than the limited-movement group (p<.05). Howeve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other domains were not significant among the groups (p>.05).Conclusion : The findings in this paper show a possibl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level and QOL. However, the association of QOL and physical function depends on the QOL domain. Therefore, future studies are required to assess the possible association between QOL and physical function in more depth.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폐아동의 상동행동 치료에서 감각통합치료와 응용행동분석의 치료효과 비교
- 강제유도운동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및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 감각통합 가정프로그램이 발달지연 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가정환경 인지재활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 Dynavision을 이용한 시지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
- 부모의 보고에 의한 강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신체적 기능수준에 따른 삶의 질 비교
- 작업 모델(Model of Human Occupation)을 중심으로 한 노인의 활동 수준과 삶의 질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