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마시기(drinking) 동작의 근활성도와 운동형상학 분석

이용수 2

영문명
Muscle Activity and a Kinematic Analysis of Drinking Motion
발행기관
대한작업치료학회
저자명
윤성용 이택영 박소연 이진복 김장환
간행물 정보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16권 제1호, 77~88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3.31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정상성인남성의 마시기 동작을 표면근전도와 삼차원 동작 분석기를 통하여 상지 움직임에 대한 계량적(운동형상학: kinematics, 근활성도: muscle activity) 자료를 수집하여 마시기 과제 수행 시 운동 패턴과 전략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건강한 20대 젊은 남성 30명을 대상으로, 삼차원동작분석기(VICON MX System)와 근전도기(MP-100)를 이용하여 마시는 동작의 관절가동범위, 속도,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물 마시기 수행 중 컵을 잡는 동안 어깨에서 최대 내전과 팔꿈치의 최대 신전이 나타났고, 마시는 동안 어깨에서는 최대 굴곡 및 외전이 팔꿈치에서는 최대 굴곡이 나타났다. 뻗기 단계에서 각 관절의 각도 변화에 대해 피어슨상관계수(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한 결과 어깨와 팔꿈치사이에서 (r=-.904), 어깨와 손목사이에서(r=.722), 팔꿈치와 손목사이에서(r=-.700)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5). 입으로 가져오기 단계에서는 위쪽등세모근(7.31%)과 위팔두갈래근(1.60%)이 가장 높은 활성도를 보였고, 정리하기, 마시기, 뻗기 단계에서 각각 위팔세갈래근(.43%), 중간어깨세모근(1.33%), 긴노쪽손목폄근(2.20%)에서 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가 중추신경계 및 근 골격계 환자의 치료 계획 및 치료 전략을 설정 시 적용 될 수 있으며, 또한 치료적 중재 후 상지 움직임 향상에 대한 평가의 기초자료로 이용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 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ask of drinking a glass of water through three-dimensional motion analysis and electromyogram (EMG). Methods : Thirty healthy young adult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 participants performed the task of drinking a glass of water in a sitting position. During the task, the time, range of motion, and velocity of upper extremity movement were measured using VICON MX SYSTEM, and the muscle activities were measured using MP-100. Results : The results show a maximal adduction of the shoulder and an extension of the elbow during the glass-holding phase. There were a maximal flexion, abduction of the shoulder, and maximal flexion of theelbow during the drinking phase. During the reaching phase, the shoulder angle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elbow angle (r=-.904, p<.05), the shoulder angle moderately correlated with the wrist angle (r=.722, p<.05), and the elbow angle moderately correlated with the wrist angle (r=-.700, p<.05). During the forward transport phase, returning phase, drinking phase, and reaching phase, the upper trapezius (7.31%), biceps brachii (1.60%), triceps brachii (.43%), deltoid middle fiber (1.33%), and extensor carpi radialis longus (2.20%) showed the highest muscle activities.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people with neurological conditions who experience upper extremity weakness for their most-efficient movement patterns during various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is may lead to an effective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treatment plan, and better client satisfac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성용,이택영,박소연,이진복,김장환. (2008).마시기(drinking) 동작의 근활성도와 운동형상학 분석.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6 (1), 77-88

MLA

윤성용,이택영,박소연,이진복,김장환. "마시기(drinking) 동작의 근활성도와 운동형상학 분석."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6.1(2008): 77-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