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인전문병원에 입원한 환자들의 일상생활활동과 관련된 요인
이용수 4
- 영문명
- A Factors Related to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Among Patients in Geriatric Hospitals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홍승표 이지전 이상욱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15권 제2호, 79~8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0.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이 연구는 노인전문병원에 입원한 환자들의 일상생활활동과 관련된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연구대상은 전국 8개 노인전문병원에 입원한 환자 1,00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일상생활활동능력 및 그와 관련된 요인은 RAI(resident assessment instrument) Long-Term Care Facility version 한글판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은 2003년 1월 26일에서 3월 8일까지였다.
결과:노인전문병원에 입원한 환자들의 79.9%가 신경계 질환을 갖고 있었다. 일상생활활동과 관련된 요인은 인지 기능, 수의운동, 균형능력, 시각기능 및 신경계 질환의 유무였고, R-square 값은 .66이었다.
결론:이 연구결과를 통해 노인전문병원에서 신경계 질환을 갖고 있는 환자가 가장 많이 입원하고 있었으며, 일상생활활동과 관련된 요인은 인지기능, 수의운동, 균형능력, 시각 기능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노인전문병원에서 신경계 질환을 대상으로 하는 재활치료 프로그램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그 중 작업치료는 다양한 신체기능 상태를 고려하여 일상생활활동 훈련을 시행하는 보건전문영역이므로 그 역할이 확대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We conducted a cross-sectional stud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ed to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status among patients in geriatric hospitals.
Methods:The ADL status and its related factors for 1,001 patients in 8 long-term care hospitals were examined in 2003 using Resident Assessment Instrument for Long-term Care Facility Version 2.0.
Results:79.9% of the subjects had a neurological diagnosi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significant factors relating to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cognitive function, balance, voluntary movement, visual function, and neurological diagnosis. The multiple adjusted R-square was .66.
Conclusion:The results showed that neurological disease was the most common diagnosis. and that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related to various physical functions. Therefore, our study suggests that rehabilitation therapy services for patients with a neurological diagnosis need to be developed. In particular, occupational therapy needs to be expended to increase the ADL status of patients in geriatric hospital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Hemiplegic Motor Behavior Tests의 타당도와 신뢰도에 대한 연구
- 근로자 역할인식 면담도구(Worker Role Interview)를 이용한 인간작업모델(Model of Human Occupation)의 임상적용
- 작업치료사의 근골격계 자각증상과 관련요인
- 지역사회중심 뇌졸중작업치료프로그램을 통한 중재 효과와 참여 학생들의 만족도
- 만성 척수손상환자를 대상으로 한 척수손상 - 기능실현평가지수의 타당성 연구
- 노인전문병원에 입원한 환자들의 일상생활활동과 관련된 요인
- 밀기증후를 보이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임상 양상과 뇌손상 크기 및 부위에 관한 연구
- 구조화 접근을 통한 부모교육이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학령기 아동의 문제행동 및 언어발달에 미치는 효과
- Sensory Profile 평가도구의 국내적용을 위한 번역연구
- 뇌졸중 환자에 대한 가정작업치료의 비용-편익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