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녀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모의 반응과 아동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 집행기능 곤란의 매개효과
이용수 101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s and Problem Behaviors: Mediating Effects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 발행기관
- 인지발달중재학회
- 저자명
- 강슬기 서미정
- 간행물 정보
- 『인지발달중재학회지』제14권 제3호, 39~6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자녀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모의 반응과 아동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집행기능 곤란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5, 6학년 709명을 대상으로 집행기능 곤란 하위요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Hayes가 제시한 Process macro의 병렬식 다중매개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자녀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모의 반응과 아동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집행기능 곤란의 매개효과는 문제행동 유형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내재화 문제행동의 경우, 모의 감정코칭반응은 내재화 문제행동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면서 계획 및 조직화 곤란을 통해 간접적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의 과민반응은 계획 및 조직화 곤란을 통한 간접효과가 유의하였고, 모의 감정축소반응은 정서통제 곤란을 통한 간접효과가 유의하였다. 외현화 문제행동의 경우, 모의 감정코칭반응과 모의 과민반응 모두 행동통제 곤란을 통한 간접효과가 유의하였고, 모의 감정축소반응은 정서통제 곤란을 통한 간접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에서 밝혀진 집행기능 곤란의 간접효과는 아동기 문제행동 유형에 따른 적절한 개입 방안의 모색과 함께 문제행동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reactions to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s, and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s among children.
Methods: For analysis purposes, 709 data points were gathered from 5th and 6th grade children. In order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Hayes’ parallel multi-mediation model of the Process macro was used.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emotional coaching response showed significant and negative correlations with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s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Hypersensitivity and emotional reduction responses showed a positive an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s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and problem behaviors. Second, as in the case of internalizing behaviors, indirect effects through planning and organizational and emotional control difficulti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terms of externalizing behaviors, indirect effects through difficulty in controlling behavior and difficulty in controlling emotion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Conclusions: This study could be used to develop programs for preventing and reducing problem behaviors, as well as finding appropriate intervention methods according to types of problem behaviors apparent in childhood.
목차
서론
연구방법
결 과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인 기질 군집에 따른 성격장애 특성
-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변화된 교육환경에서의 대학생활 경험: K대학을 중심으로
- ADHD 자녀를 둔 학부모의 양육 경험에 따른 학교 적응 지원요구 탐색
- 유아교육기관의 조직창의성과 유아교사의 놀이신념이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남녀아동의 기질과 문제행동간 관계에서 자녀의 부정정서에 대한 어머니 반응의 조절효과
- 자녀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모의 반응과 아동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 집행기능 곤란의 매개효과
- 배경음악, 사례 이질성, 지각적 단서가 영아의 지지관계 범주화에 미치는 영향
- 한국 베일리 영유아발달검사 4판(K-Bayley-4) 언어척도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