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감각통합기능 평가에 대한 고찰
이용수 2
- 영문명
- The Literature Review for Assessment of Sensory Integration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김경미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11권 제1호, 93~98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5.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view article were to suggest ways for practitioners to determine the presence of sensory integrative dysfunction and something about its characteristics in the absence of the Sensory Integration and Praxis Tests (SIPT) and to suggest to need the use of a top-down assessment approach in the sensory integration approach. The review constructed in
two major ways: sensory modulation disorders and disorders of praxis in sensory integration dysfunctions. The methods of test for sensory modulation disorders included a interview, take a sensory history in all sensory system and informal or/and formal observation of children in general and specific environment. Tests for sensory modulation were Sensory Profile (Dunn, 1999), Touch Inventory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IE) and Evaluation of Sensory Processing etc.. The methods of test for disorders for praxis included direct clinical observation,
performance of tasks, interview, sensory history, sequencing and balance in occupational performance. The test tools were Bruininks 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BOTMP), Motor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MABC), DeGangi-Berk Test of Sensory Integration, Clinical Observation of Motor and Postural Skills (COMPS), Clinical Test of Sensory Interaction with Balance (CTSIB) and Clinical Observations of Neuromotor Performance etc..
This article reviewed assessments of sensory modulation disorders and disorders of praxis within the context of a top-down approach to evaluation. It also presented formal and informal assessments and proposed a mean of assessing sensory integration in the absence of the SIPT.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Ⅲ.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Grooved Pegboard Test의 정상 아동의 표준치에 관한 연구
- 상지고정술이 뇌손상 환자의 손기능에 미치는 영향
- 노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조사
- 장애인의 신체적 특성이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 : 작업치료 전공학생을 중심으로
-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 : 작업치료교육에의 적용
- 감각통합기능 평가에 대한 고찰
- 한국 작업치료 의료보험 수가의 문제점
- 근무일지 쓰기 훈련이 우울증 환자의 우울감과 직무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 발달장애아 부모를 대상으로 인터넷 재활상담 서비스에 대한만족도 조사
- 뇌졸중 환자용 기본 일상생활 평가도구 개발(1)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