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상의 자각과 우울의 관계 -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검증
이용수 6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wareness of Imagination and Depression
- 발행기관
-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 저자명
- 정근와
- 간행물 정보
-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제25권, 29~4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공상의 자각이 우울 경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대학생 및 대학원생 402명을 대상으로 공상의 자각 질문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질문지, Beck 우울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총 373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SPSS 23.0과 AMOS 23.0을 사용하여 상관 분석,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공상의 자각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유의한 정적 상관, 공상의 자각과 우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우울의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공상의 자각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완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에 대한 시사점과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hen awareness of illusion affected the reduction of depression.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402 college students using awareness of illusion inventory,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questionnaire,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3.0 and AMOS 23.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showed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between awareness of illusion and depress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confirm how awareness of illusion affected the depression through posi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model.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based on the results.
목차
Ⅰ. 서론
Ⅱ.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해결중심상담자의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