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그림책을 활용한 말 리듬 놀이가 영아의 리듬인식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108
- 영문명
- The Effects of Speech Rhythm Play Using Picture Books on Infants' Rhythm Recognition
- 발행기관
- 한국영유아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정겨운 김현진 임은화
- 간행물 정보
- 『영유아음악교육연구』제2권 제1호, 35~4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아를 대상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말 리듬 놀이를 구성하고 보육 현장에 직접 실천해 봄으로써 영아의 리듬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W시 소재 두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14명의 영아를 대상으로 선정하고, 실험집단에는 그림책을 활용한 말 리듬 놀이를 적용하였으며, 비교집단에는 그림책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을 적용하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의 리듬인식에 대한 평균이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연구결과는 그림책을 활용한 말 리듬 놀이가 영아의 리듬인식을 높이는데 유용하였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sing picture books to organize speech rhythm play for infants in daycare centers and how this impacts their rhythm recognition. For this purpose, 14 infants enrolled in two daycare centers in W city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 experimental group engaged in speech rhythm play using picture books, while the comparison group appliedpated in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This enabled an analysis of the respective effects of these interven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rhythm recogni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speech rhythm play using picture books is useful for improving infants' rhythm recogni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AI인 ‘Text to Music’을 집단탐구모형에 적용한 음악 창작지도 설계 방안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한국 음악소양 검사 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 타당도 연구
- 지역형 초등국악 교사학습공동체의 참여경험 탐색 - 초점집단면담(FGI)을 중심으로 -
- 포스트 휴먼 시대, 실천적 미적 교육으로서 음악교육의 가치 탐색 - 자기 이해와 타자 이해에의 조망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